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이용수 296

영문명
A Study on the Core Competence of Teachers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부숙 이수연 김효원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9호, 519~53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직무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급변하는 사회적·교육적 변화를 반영하는 유아교사의 미래역량을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유아교육기관에에 재직 중인 현직교사 12명을 대상으로 3회 걸쳐 포커스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52장의 전사 결과를 질적분석 과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현직교사들은 교직 인성을 별도의 역량으로 구성하고자 하며, 기본소양을 강조하였다. 둘째, 영유아 발달단계를 더 세분화하여 월령별 발달단계와 7세 이후 발달 특성에 관한 내용도 추가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2019 개정누리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놀이지원자로서의 역량 증진을 강조하였다. 넷째,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역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인증의 평가방법 개선을 요구하였다. 유아교사의 미래교육 핵심역량으로 2022 초·중·고 교육과정을 반영한 생태전환교육, 민주시민교육, 디지털 교육 대한 중요성은 인식하였으나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은 미흡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미래교육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현직교사의 연수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필요로 하는 핵심역량을 반영한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모델 탐색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what core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effective job performanc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identify the future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rapidly changing social situations.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were 12 current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ree focus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52 transcrip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qualitative analysis process.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wanted to compose professionalism/personality in teaching profession as a com-petence and emphasized basic skill and quality. Second, they insisted that infants and toddlers’ developmental stage need to be segmented, and thus the developmental stage by age of months and the details o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fter seven years of age should be added. Third, they argued that the teachers need to enhance their competences as a play supporter so that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an be operated. Lastly, they demande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communication competences and the evaluation method improvement in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The Although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digital literacy reflected in the 202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revision as core competencies for future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recognized,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 metho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reflected i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training contents of in-service teachers, which can enhance the core competence of teachers for future education. As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explore a core competency model for fos-te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that reflects the core competency requir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부숙,이수연,김효원. (2023).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9), 519-534

MLA

박부숙,이수연,김효원.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9(2023): 519-5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