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관점에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 분석과 활성화 방안

이용수 210

영문명
Methods for analyzing and activating village educational community activities in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Focusing on K Innovation City S Village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연희 박찬숙 한정선 김창환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9호, 365~38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15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K혁신도시의 S마을학교가 생성되고 성장하며 진화해 나가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Engestöm의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을 중심으로 S마을학교의 활동체제를 분석하고 모순해결 과정에서 발생한 마을학교의 변화와 성장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문헌조사, 심층면담, 참여관찰을 실시하고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활동체제를 분석하였다. 두 번의 심층면담은 S마을학교의 마을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먼저 실시하고 마을교사 중 주요 책임자를 대상으로 2차로 실시하였다. 결과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관점에서 S마을학교 활동체제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마을학교 5년의 활동기간은 활동체제의 주체, 도구, 대상의 모순과 차이에 따라 크게 두 시기로 구분된다. 주체 요소에서 주요 모순은 마을교사의 개인별 상황과 활동력의 차이에서 왔으며 마을학교의 정체성과 활동내용을 바라보는 마을교사 상호 인식 차이에서 발생했다. 도구에서 나타난 모순은 학생 모집의 현실적인 어려움에서 시작하여 주민 참여 활동으로 확대 의견과 학생 중심 활동 집중의 두 의견으로 대립되었다. 공동체 요소의 모순은 마을학교에 대한 지역사회의 이해 부족, 거버넌스의 부재, 공모사업 재정 지원의 불확실성으로 나타났다. 주요 모순을 극복하며 확장적 학습이 일어나게 된 요인은 마을학교 전체 회의와 마을교사 배움터를 운영하고 마을안에서 공식적·비공식적 만남을 가졌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마을교사 상호 간 정서적 친밀감이 형성되고 관계성이 확대되면서 모순과 갈등을 극복하고 새로운 활동체제를 창조적으로 만들어 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 마을학교의 지속가능성과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해서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들 내부의 민주적인 의사소통 구조와 배움의 연속성이다. 둘째, 마을학교의 지향점과 활동내용은 변화할 수 있으며 이는 마을학교 구성원들과 논의하고 합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마을에서 주민들과 접촉 범위를 넓히고 마을 내 공동체와의 네트워크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속 가능한 활동을 위한 민·관·학 거버넌스 구성에 행복교육지구와 지자체의 역할과 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creating, continuously growing, and evolving vil-lage schools in Gyeongnam Innovation C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tivity system of village schools, based on Engestöm's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and to study the growth and change of village schools which arose from the process of resolving contradictions. Methods We conducted a literatur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analyzed the activity system based onEngestöm's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Two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irst with all village teachers at S village school and secondly with key managers among village teachers. Resul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village school's activity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re as follows. The five-year activity period of the village school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eriods ac-cording to the contradictions and differences of the subject, tool, and object of the activity system. The main con-tradiction came from the difference in the individual situation and activity of the village teachers, 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village teachers who watched the identity and activity of the village school. The contradictions that appeared in the tool began with the practical difficulties of recruiting students, leading to two conflicting opinions: one to expand to resi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one to focus on student-centered activities. The contradictions in the community elements were expressed as the community'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village school, the absence of governance, and the uncertainty of financial support for the public offering project. The factor that led to the occurrence of expanded learning by overcoming major contradictions was that through continuous formal and informal meetings such as general meetings and teacher learning centers within the village, emotional intimacy was formed between village teachers and relationships expanded, thereby overcoming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It appears that a new activity system has been creatively created. Conclusion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lements necessary for the sustainability of village schools and vital-ization of village educational communit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democratic communication structure and continuity of learning within the members. Second, the direction and activities of the village school can change, and this must be discussed and agreed upon with the village school member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ange of contact with residents in the village and to have a network with the community in the village. Finally, it shows the need for the role and support of the Happy Education District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formation of public, government, and academic governance for sustainable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과와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연희,박찬숙,한정선,김창환. (2023).문화역사적 활동이론 관점에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 분석과 활성화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9), 365-386

MLA

김연희,박찬숙,한정선,김창환.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관점에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 분석과 활성화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9(2023): 365-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