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KSL) 교재의 문화 항목 내용 분석

이용수 212

영문명
Analysis of Cultural Topics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KSL) Textbook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부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9호, 349~36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KSL)의 문화 항목을 분석하여 좀 더 나은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올바른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표준한국어 교재 중 학습 도구 교재의 경우 교과 학습 향상을 위한 연계 학습이므로 논외로 하고 중고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1, 2, 3, 4권을 대상으로 문화 항목을 분석하기 위해 일상 문화, 또래문화, 놀이문화, 문학 등 네 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교재의 문화 항목을 일상 문화, 또래 문화, 놀이문화, 문학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일상 문화와 또래 문화가 대부분이고, 문학 분야는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문화 항목의 내용은 중고등학생들이 일상생활과 학교생활에 연관된 문화와 또래 문화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일상 문화와 또래문화에 편중되어 있었다. 또한 다문화 교육이 상호문화주의로 변화하고 있는 이때 타문화에 대한 언급이 문화 항목 마지막 부분 한 줄에 그쳐 아쉬웠다. 결론 다문화 중고생들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문화 항목의 비중을 높이고, 문학 항목도 추가되어야 한다. 또한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타 문화 제시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By analyzing the cultural section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KSL) curriculu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ur objective is to propose improved approaches to cultural education and offer guidance or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s will analyze the cultural section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communication pur-poses (KSL for Communication 1, 2, 3, 4 targe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xcluding the supplementary learning tools focused on enhance. since they are intended for integrated learning in the curriculum. Instead, we will focus on analyzing the cultural section overed in Standard Korean Language for Communication 1, 2, 3, and 4, specifically targe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When we analyzed the cultural section in the textbooks, we found that they were divided into daily cul-ture, peer culture, play culture, and literature, and that daily culture and peer culture were mostly presented, and literature was not presented at all. In the culture secti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escribed cultures and peer cultures related to their daily lives and school life, but the content was biased toward everyday culture and peer culture. In addition, at a time when multicultural education was changing to interculturalism, it was regret-table that the mention of other cultures was only one line at the end of the cultural section. Conclusions To facilitate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mult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mphasis on cultural section and include literature aspects. Moreover, there should be specific in-clusion of different cultures to foster mutual understanding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문화 항목 내용 분석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부전. (2023).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KSL) 교재의 문화 항목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9), 349-363

MLA

박부전.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KSL) 교재의 문화 항목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9(2023): 349-3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