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초년생의 시간관과 자기통제력이 업무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12

영문명
Effects of Time Perspective and Self-control on Work Procrastination of the New Employe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Stres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진 민경화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9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초년생의 시간관이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업무지연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자기통제력과 업무지연행동 사이에서 지각된 스트레스가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에 거주하는 직장에서의 근무 기간 3년 미만인 사회초년생 301명을 대상으로 시간관 척도, 자기통제력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업무지연행동 척도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을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과거부정 시간관과 현재운명 시간관은 자기통제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업무지연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미래지향 시간관은 자기통제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업무지연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과거부정 시간관이 업무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력이 완전 매개하였고, 현재운명 및 미래지향 시간관이 업무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력이 부분 매개하였다. 셋째, 자기통제력과 업무지연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통제력이 업무지연에 미치는 영향이 지각된 스트레스의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사회초년생의 시간관이 자기통제력을 통하여 업무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스트레스가 조절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업무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심리적 요인에 대한 이해와 기업 상담 장면에서 업무지연행동에 대한 상담적 접근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 time perspective of a new employee influences work delay behavior through self-control, and whether perceived stress between self-control and work procrastination is controlled. Method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consisting of 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 the brief self-control measure, perceived stress scale, and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was conducted on 301 a new employee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service at workplace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ment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variable, the ‘past negative’ time perspective and ‘present fatalistic’ time perspectiv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o self-control,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ork procrastination. ‘future’ time perspectiv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ntrol, and has shown an negative correlation with work procrastination. Second, self-control fully mediated the ‘past negative’ time perspective on work procrastination, and self-control partially mediated the ‘present fatalistic’ time perspective and ‘future’ time perspective on work procrastination. Third, the control effect of perceive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work procrastination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impact of self-control on work procrastination depends on the level of perceived stress.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whether perceived stress can control the effect of the time perspective of the new employee on work procrastination through self-control.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data for understanding the cognitive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erspective and work procrastination and for consulting access to work procrastination in corporate consultation scen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민경화. (2023).사회초년생의 시간관과 자기통제력이 업무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9), 1-18

MLA

정진,민경화. "사회초년생의 시간관과 자기통제력이 업무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9(2023):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