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국어 교사의 원격수업경험 분석

이용수 370

영문명
Analysis of the remote learning experience of middle school Korean teachers: Focusing on difficulties and coping strategi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민형(Min Hyoung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7호, 233~25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원격수업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원격수업 설계 시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사 6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면담의 질문 범주는 ‘원격수업 운영 형식과 관련된 경험’, 수업을 전개해 나가면서 교수⋅학습의 단계에 따라 국면별로 교사들이 직면할 수 있는 경험을 ‘수업 국면별 경험’으로 나눌 수 있다. 결과 그 결과, 교사들의 경험은 각 경험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느낌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나누어 기술될 수 있었다. 결론 대면 수업에서 원격수업으로 변화하였지만 중학교 교육과정 실행의 특징은 크게 바뀌지 않았으며 교사들은 변화에 대체로 보수적으로 대응하였다. 또한 대면수업과 원격수업을 영역별 특성이나 교수학습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분배해 설계하기보다는 진도대로 나가고자 하는 관성이 있었다. 교사들은 원격수업 도구의 도움을 받아 학습자의 과제 수행 동기 촉진과 과정 관찰, 협동적 과제 수행, 섬세한 피드백을 할 수 있는 것에 만족하고 있었다. 그러나 반면에 학습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하는 수업 설계를 꺼려하고 있었으며, 원격수업 의사소통 맥락에 대해 두려워하고 있었다. 따라서 정책적으로 교사들이 원격수업의 의사소통 맥락에 갖고 있는 두려움이 개선되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학습자들이 원격수업에 주도적이고도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학습자 디지털 리터러시 신장 교육 내용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teachers regarding remote learning and to derive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design of remote learning accordingly. Methods For this purpos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teachers. The question category of the interview can be divided into ‘experiences related to the form of remote class operation’ and ‘experiences by class phase’, which describe the experiences teachers may face by phase depending on the stage of teaching and learning as the class progresses. Results As a result, teachers experiences could b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about each experience and strategies to respond to them. Conclusions Although there was a change from face-to-face classes to remote cla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nd teachers generally responded conservatively to the changes. In addition, there was an inertia to go ahead with progress rather than designing face-to-face and remote classes by distributing them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and the pros and cons of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facilitating learners task performance motivation, observing the process, performing cooperative tasks, and providing detailed feedback with the help of remote learning tools.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y were reluctant to design a lesson centered on the learner s reaction and were afraid of the remote learning communication context. Therefore, as a policy, efforts should be made to alleviate the fear that teachers have in the communication context of remote learning,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enhancing digital literacy for learners should be prepared so that learners can actively and actively participate in remote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형(Min Hyoung Lee). (2022).중학교 국어 교사의 원격수업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7), 233-252

MLA

이민형(Min Hyoung Lee). "중학교 국어 교사의 원격수업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7(2022): 233-2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