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만2세 영아의 생태근린공원 숲 산책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 탐색

이용수 595

영문명
Explo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Walking Play in the Forest of Ecological Neighborhood Park for 2-Years-Old Infa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은실(Park Eunsil) 박희숙(Park Heesoo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7호, 795~81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15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 실시한 만2세 영아의 생태근린공원 숲 산책놀이의 경험과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P어린이집 만2세반 영아들의 숲 산책놀이에서 나타난 영아의 경험 내용과 교육적 의미를 현상학적 질적 연구로 탐구하였다. 결과 생태근린공원 숲 산책놀이에서의 영아의 경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감으로 느끼고 표현해보기, 둘째, 도전과 모험으로 즐거움 경험하기 셋째, 고대하며 기다리는 해방감 체험하기 넷째, 자연물과 자연현상에 관심가지기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근린공원 숲 산책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경험과 연결하고 확장하기 둘째, 사회적 관계 맺기 셋째,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탐색하기로 나타났다. 결론 영아들이 숲 산책놀이를 통해 즐거움과 해방감을 느끼며 자연과 인간애 대한 긍정적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첫째, 교사는 영아를 숲 산책놀이의 공동구성자로 인식하고 영아의 역할을 존중하며 배움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성을 키워나가야 한다. 둘째, 숲 산책놀이는 실내놀이와 연계하여 영아의 흥미가 지속되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영아의 안전을 확보하고 호기심을 지원하는 숲 산책놀이를 위해 부모와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educational meaning of a walking play in the forest of an ecological neighborhood park for a 2-years-old children in a social distancing situation due to COVID-19. Methods This study phenomenologically explored the contents and educational meaning of the infants s experiences in the forest walking play of 2-years-old class at the P daycare center. Results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s of infants in the forest walking play in the ecological neighborhood park are as follows. First, feeling and expressing with the five senses, second, connecting and expanding the infant s experiences. third, Wanting forest walking play and liberation, fourth, experiencing interest in natural objects and natural phenomena.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walking play in the forest in the ecological neighborhood park is as follows. First, using prior experiences and knowledge, second,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third, active and proactive explor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proposed. First, teachers should recognize infants as co-constructors of forest walking play, respect the role of infants, and develop expertise to support learning. Second, forest walking play should be linked to indoor play to support continued interest.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utilize the resources of parents and communities for forest walking games that support the safety and curiosity of infa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실(Park Eunsil),박희숙(Park Heesook). (2022).만2세 영아의 생태근린공원 숲 산책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7), 795-819

MLA

박은실(Park Eunsil),박희숙(Park Heesook). "만2세 영아의 생태근린공원 숲 산책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7(2022): 795-8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