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행 교육과정에 의한 초 중등 음악과 수업에서 대중음악 교육 개선을 위한 의견조사 연구
이용수 280
- 영문명
- A Study on Opinions to Improve Popular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Music Classes by the Current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저자명
- 박정은(Park Jeongeun)
- 간행물 정보
- 『문화와융합』제43권 9호, 349~36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빌보트 차트 10주간 1위를 기록한 BTS 등 우리나라 뮤지션들의 세계적 활약은 대중음악교육에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처럼 K-Pop의 성장과 함께 학교 음악교육 내 대중음악의 비중은 교육과정 개정을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있는 현 시점에 학교 대중음악수업의 개선을 위한 교육구성원의 의견조사 연구 및 분석을 한다. 이를 위해 앞서 초ㆍ중등 대중음악 교육과정기준 개발을 위한 의견 조사에서확인한 학교교육에서 대중음악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교육과정기준 개발의 필요성, 대중음악교육 확대 강화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체계적인 학교 대중음악 수행을 위한 개선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음악교육을 강화하는 음악교육과정을 개정한다. 둘째, 학교음악 수업에서 대중음악교육 시수를 증가한다. 셋째, 전문 지도교사를 배치한다. 넷째, 보조교사를 배치한다. 다섯째, 방과 후 대중음악 클럽활동을 강화한다. 여섯째, 대중음악교육의 예산을 증액한다. 의견조사는 총 555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소속, 가장 친숙한 분야, 대중교육과의 관계, 성별에 의한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선안들에 대한 유의미한 수치를 도출하였고, 사후분석으로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선교육 후설계가 되고 있는 현 대중음악수업이 체계적인 개선이 될 수 있도록 교육 구성원들의 노력과 교육현장에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erformance of global brilliance by Korean musicians, such as BTS, who have ranked number one on the Billboard Chart for 10 weeks, is further strengthening the popular music education. As such, alongside the growth of K-Pop, the weight of the popular music for the school education is growing as the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in School is amended. In this study, a study and analysis of the opinion poll of the educational member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opular music classes in school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facing the next amendment of the curriculum. Towards this end,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popular music education for the school education, need to develop the curricular standards, and the strengthening and the expansion of the popular music education, which were confirmed during the opinion poll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popular music curriculum standards for the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The measures of improvement for the systematic performance of the popular music in school are as follows. First, amend the music curriculum which strengthens the popular music education. Second, increase the number of the sessions held for the popular music education for the music classes in school. Third, assign professional teachers. Fourth, assign teaching assistants. Fifth, strengthen the popular music club activities after school. Sixth, increase the budget for the popular music education. A total of 555 people participated for the opinion poll, and the differenc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affiliation, most familiar field, relationship with public education, and gender. Through this study, significant figures for the measures of improvement were deriv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confirmed via the ex post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e efforts of the educational members and the educational field will be reflected to ensure that the current popular music classes, which are undergoing design after education in advance, may be systematically improv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대상 및 방법
4. 연구결과
5.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와 융합 제43권 9호 휘보 및 판권
- 그랜드 투어가 멘델스존의 작품 세계에 미친 영향 연구
- 영상콘텐츠 제작특화 탄소계산기의 국제 비교연구
- 8주간 전신 또는 하지 필라테스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신체관절각에 미치는 영향과 두 필라테스 방법 간의 차이에 대한 연구
- 문학 리텔링 독서의 치유성
- 밈의 미학적 선택에 관한 연구
- 미얀마 낫(Nat)신앙에 관한 일고찰
- 다원주의 미술의 일상 통합의 제 문제
- 경쟁가치모형에 의한 공공기관 조직문화가 조직몰입과 직무관여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정서지능에 따른 별-파도 그림검사의 반응특성 연구
- 대한제국기 및 식민지시기 재한일본인들에 의한 기생사(史) 및 기생상(像)의 왜곡에 관한 연구
- 비유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 <미학의 이해> 비대면 게이미피케이션 강의 사례 분석
- 리메이크 영화와 드라마 속 한 미 남녀 발화의 비교문화적 화행 연구
- 아시모프의 아이, 로봇 에 재현된 캐릭터 유형 연구
- 디지털게임 텍스트와 ‘게임하기’의 수행성
- 민요 반주교육을 위한 토리별 가야금 연주법 제안
- 상담경험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현대소설에 나타난 텍스트적 성격과 담론적 발현 양상
-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정주대학 운영 사례연구
- 태권도공연 체험이 관광지이미지 및 관람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칠언율시의 가창 유형별 특징에 관한 연구
- 현행 교육과정에 의한 초 중등 음악과 수업에서 대중음악 교육 개선을 위한 의견조사 연구
- 구술 증언록의 문화 융합 콘텐츠로서 활용 가능성
- A Comparative Study of Lifelong Learning System in Different Countries
- 진주삼천포⋅평택⋅이리농악의 진법과 장단 비교분석
-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활용한 남자 대학생의 행복경험에 관한 연구
- 융복합 교양교과목 <포스트 코로나 시대
- TV 쇼 프로그램의 생존방식과 트랜스미디어 전략
- 실감형 진로체험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 온라인 플랫폼 기반 발표 과제실행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모형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설화 교육 실행 연구
-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알아본 대학생의 관심사 변화 분석
-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초급 한국어 말하기 연습용 챗봇 설계 방안 연구
- 틀린 문장 고치기 과제에 나타난 대학생들의 주어에 대한 인식 양상 및 오류 수정 능력에 관한 연구
- 핵심역량 수행활동 기반 교양영어 수업의 효과성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설화 교육 실행 연구
- 한국과 중국의 언어 교사 교육 과정 비교 연구
- 한국어 읽기 개작 수업 활동 양상 연구
- 뱀[蛇] 서사의 다층성과 문화콘텐츠로의 재현
- 위드 코로나 시대, 기업과 문화예술계의 협력 방향 모색
- 김종삼 중기시 연구
- 조선후기 무인시조의 은유적 표상과 상징
- 새만금 간척지역 박물관 유물수집을 통해 본 지역사회의 참여 양상
- 메타버스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 노인운전자의 안전운전이 가족관계 만족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문화와 융합 제43권 9호 목차
- TV 예능 프로그램의 글로컬리즘과 문화 번역 연구
- 문화와 융합 제43권 9호 표지
- 네스의 생태존재론과 미적행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자유전공학부 운영 현황 및 학생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AI 기반 챗봇 한국어 텍스트의 자연어 분석 및 한국어 교육 활용 모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