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무인시조의 은유적 표상과 상징

이용수 115

영문명
Metaphorical Representation and Symbol of the Late-Joseon Period’s Warrior Sijo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하성운(Ha Seongwoo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9호, 449~46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후기 무인시조에 주로 등장하는 이미지와 소재, 그리고 모티프 등을 파악하여 이들의 은유적 표상과 상징을 알아보고자 했다. 은유와 상징에 관한 시 문학은 원래의 대상을 다른 대상으로 재현한다는 점에서 그것의 모호함과 다의성을 함의하고 있다. 그것에 함의된 표현대상의 이해는 작품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따라서 무인시조에 표상된 원개념을 파악함은 물론, 상징물의 의미와 함께 그들의 작품세계를 살펴보았다. 무인시조에는 무인을 가리킬만한 상징적 요소들이 산재되어 있다. 무인의 보편적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작자가선택한 특수한 소재들은 새로운 의미망을 형성하지 못하고 고정된 측면이 있었다. 작품에 등장하는 長劒, 萬里長 城, 旄頭星, 天地分界 등은 알레고리컬 상징으로, 우리는 이와 같은 소재를 관찰하면 무인작품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그 이미지는 현실적인 역사성을 띠며 그대로의 현실을 재현하는 기능을 했다. 무인적 기개와 호기로움, 전란 때 당한 수치스러움과 극복 의지 등을 담아냈다. 이처럼 무인시조에 등장하는 소재들은 무인의 형상을여러 이미지의 합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작자가 표출하고픈 모습의 일부분을 형상화한다. 이러한 이미지는 파편화되어 단조로운 측면이 있지만 무인들이 추구하는 면모를 부각시키기 위한 상징물이다. 또한 무인시조에는 인유에 의한 상징을 활용하여 자신의 뜻을 은유적으로 전달하면서도 사물의 원개념을 불분명하게 하여 의도를 조심스럽게 감추기도 하였다. 조선후기 무인에 대한 인식은 白松鶻과 白鷺 소재를 차용하여문인에 대한 차별적 시선을 우의적으로 드러냈다. 문인에 대한 비판보다는 무인과의 화합을 강조하며 차별적 시선에 대해 관대함을 보여준 작품도 있었다. 洛陽才士와 鄕村武夫, 大鵬과 감쟝새를 비교하며 문인과 무인, 이 둘은爲國의 관점에서 서로 다르지 않음을 강조하였다. 작품들에서 보이는 인유적 상징은 작자의 시적 상상력으로 작품을 재문맥화하는데, 사물과 관념 사이의 유사성을 명확하게 일치시키지 않았다. 이것은 차별적 시선에 대해 언급하기 어려운 실제 대상을 에둘러 말하기 때문으로도 보인다. 그리고 원형상징인 전형적이고 반복적인 이미지를 활용하여 인류 대부분에게 동일한 의미를 작품에 투영시켰다. 작품에 등장하는 秉燭夜遊 모티프는 늙음이라는 세월에 저항하는 현세지향적 태도, 달은 그것의 상징인 풍요로움과 풍류의 대상, 봄철의 상징은 평화로움 등으로 형상화하였다. 조선후기 무인시조에는 휠라이트가 언급한 대로전형적인 원형상징으로 동일한 의미를 표출하였다. 이런 관습적 이미지들은 작자의 개성에 따른 변용보다는 그대로의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이처럼 조선후기 무인시조는 은유적 표상과 상징적 표현으로 무인들이 추구하는 심적태세를 드러냈다. 무인들이창작한 시조는 한정적인 주제나 되풀이되는 모티프, 그리고 관습적 소재를 차용하면서도 그것의 구속력에 저항하는 면모를 보였다. 작품들에서는 독특하고 특별한 상징물이 작자에 의해 새롭게 구성되지는 않았다. 여타 시조들에서 주로 거론되는 상징들을 차용하여 심상을 표현하였다. 하지만 그 이미지는 현실적인 역사성을 띠며 그대로의현실을 재현하기에 그 나름의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images, materials, and motifs that usually appeared in the warrior sijo of the late-Joseon period, and to identify their metaphorical representation and symbols. Poetic literature on metaphors and symbols implies its ambiguity and versatility in that it reproduces the original object as another object. Therefore, the original concept represented in the unmanned vision was identified, as well as the meaning of symbolic expression and world perception. Warrior sijo is scattered with symbolic elements to refer to the warrior. The special materials chosen by the author to express the universal figure of the warrior failed to form a new meaning network and had a fixed aspect. Allegory symbols such as , , , in the works are often regarded as warrior’s works when we observe such materials. However, the image has a realistic historical nature and functions to recreate the reality as it is. It contains warrior’s spirit, curiosity, shame suffered during the war, and willingness to overcome it. As such, the materials that appear in unmanned prototypes do not show the shape of the warrior as a sum of various images, but rather embody a part of what the author wants to express. This image is fragmented and monotonous, but it is a symbol to highlight the aspect that the fighters seek. In addition, the original concept of objects was unclear and the intention was carefully hidden while metaphorically conveying the meaning of the poem using the symbol of humanity. The recognition of military personnel in the late-Joseon period was borrowed from the materials of and material expressing a discriminatory view of literature. Some works emphasized harmony with unmanned people rather than criticism of writers and showed generosity toward discriminatory views. Comparing and , and small bird, they emphasized that the two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duce. The anthropological symbols seen in the works re-contextualize the work with the author s poetic imagination, which did not clearly match the similarities between objects and ideas. This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comment on discriminatory views. And the same meaning was projected into the work of most of mankind using the typical and repetitive image, which is a circular symbol. The motif in the work is the present oriented attitude of resisting the age of age, the moon being the object of abundance and style, and the symbol of spring being peaceful.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same meaning was expressed as a typical circular symbol, as mentioned by Filite. These conventional images showed images as they were rather than altered by the author s personality. As such, the late Joseon period’s unmanned founder revealed the mental attitude pursued by the military with metaphorical representation and symbolic expressions. Sijo created by the warrior has also been found to have limited themes, repetitive motifs, and works that borrow conventional materials while resisting their binding. In the works, a unique and special symbol was not newly constructed by the author. He expressed his image by borrowing symbols that are often mentioned in other founders. But the image has a realistic historical nature and is worth its own while reproducing the reality as it is.

목차

1. 머리말
2. 조선후기 무인의 인식과 시조작품
3. 무인시조의 은유적 표상과 상징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성운(Ha Seongwoon). (2021).조선후기 무인시조의 은유적 표상과 상징. 문화와융합, 43 (9), 449-466

MLA

하성운(Ha Seongwoon). "조선후기 무인시조의 은유적 표상과 상징." 문화와융합, 43.9(2021): 449-4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