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요 반주교육을 위한 토리별 가야금 연주법 제안

이용수 222

영문명
A Suggestion of Gayageum Playing Method for Folk Song Education by Musical Characteristic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민지(Kim Minji)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9호, 583~60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민요 반주교육을 위한 토리별 가야금 연주법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이를 위해 현행 가야금교본 속 민요반주의 다양한 주법과 토리별 음악적 특징을 결부시켜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는 세 가지로 음악적으로분류되는 네 가지(창부타령 토리, 수심가 토리, 메나리 토리, 육자배기 토리)의 음악적 특징에 따른 가야금 반주법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으며 연구방법은 현행 가야금 교본 중 민요주법을 알아보고, 음악적 특징을 결부시켜 가야금 반주법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경기민요(창부타령 토리)에서 자주 활용될 수 있는 전통적 주법은 연달아나가는 ‘1-2, 2-1주법’과 ‘스타카토 주법’, 그리고 ‘연튕김 주법’이 있었다. 둘째, 서도민요(수심가 토리)에서는 ‘찐득찐득한 농현’과 ‘제시음에서 여음 하행진행’ 주법으로 제시되었다. 셋째, 동부민요(메나리 토리)는 ‘음 하나하나를개방현’으로 뜯어 리듬이 강조되는 주법이 나타났으며 전통주법의 추성과 차별화를 두기위해 테누토 표식을 제안하였다. 넷째, 남도민요(육자배기 토리)는 도약진행과 깊은 한의 정서를 살리는 ‘3음이상 시김새로 연결’과 ‘다루치기 농현’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연구결과를 도출하는데에 있어 기존의 민요반주를 위한 교본들이 선율과 주법 등을표기하는데 있어서는 일정한 기준이나 음악적 특징을 살리는데에는 차이를 보여 반주법의 구분과 기보 표기의 통일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야금 연주자와 교육자들을 대상으로 민요의 음악적 특징은 토리를고려한 체계적인 반주법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gayageum playing method for folk song accompaniment education, and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various main laws and musical features of folk song accompaniment in the current gayageum textbook. The study set the gayageum accompaniment method based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four musical categories (changbutaryeong Tori, water-deep Tori, menari Tori, and hexa-baegi Tori). The research method identified the folk music method among the current Gayageum textbooks and proposed the Gayageum accompaniment method to express mus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earch, first, traditional liquor laws that can be used frequently in Gyeonggi folk songs (changbutaryeong Tori) were 1-2, 2-1 liquor laws, “Stacato liquor laws,” and “Yeon-tung liquor laws.” Second, in Seodo folk songs (Sudimga Tori), they were presented as the main methods of “Stiff Nonghyeon” and “Progression of Yeoweum down from the presentation.” Third, the Eastern Folk Song (Menari Tori) introduced a state law that emphasizes rhythm by ripping each note with an open chord, and proposed Tenuto marking to differentiate from the traditional liquor method. Fourth, Namdo folk songs (Yukja Baegi Tori) were presented with “Connection of Three or More Eum” and “Daruchigi Nonghyeon” to revive the progress of the leap and deep emotions of Korean. However, existing textbooks for folk music accompaniment differ in terms of melody and music characteristics, suggesting that the distinction of accompaniment method and the unification of notation are necessary. Through this stud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for gayageum players and educator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esented basic materials for systematic accompaniment considering tori.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가야금 민요반주 교본고찰
4. 토리별 가야금 연주법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지(Kim Minji). (2021).민요 반주교육을 위한 토리별 가야금 연주법 제안. 문화와융합, 43 (9), 583-606

MLA

김민지(Kim Minji). "민요 반주교육을 위한 토리별 가야금 연주법 제안." 문화와융합, 43.9(2021): 583-6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