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매체 시대의 문학교육과 디카시(dica-poem)의 교육적 활용 방향

이용수 247

영문명
Direction of Educational Use of Dica-poem and Literary Education in the Multimedia Era: Focusing on Analysis of Dica-poem Learning Cases Associated with Hands-on Activitie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최호영(Choi Hoyou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8호, 143~16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교육현장에서 디카시(dica-poem)를 활용한 사례를 살펴보고 디카시의 교육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디카시는 사진의 영상언어와 시의 문자언어를 결합시킨 복합 양식 장르로서 문학교육에서 활용할 만한 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다. 이 글은 특히 수업의 커리큘럼 중 장소의 소재와 접목하여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디카시를 활용할 수 있었다. 먼저, 학생들은 안동을 소재로 한 시 감상에서 나아가 원시의 현장을 체험하고 이를 디카시 장르로 개작하려는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다음으로, 안동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에서 새로운 시적인식을 포착하여 이를 디카시로 창작하려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원시에 관한 수동적인 이해에서 나아가 능동적인 독자의 입장에서 원시의 주제의식이나 시상을 자신의 삶으로 맥락화하거나 장소 본래의 선험적 인식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통찰력을 발휘하려는 시도를 보여주었다. 물론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다소 관념적이고 도식적인 표현을 남발하거나 디카시 장르에 관한 부족한 이해력을 드러낸 것은 수업의 한계로 남았다. 달리 보자면, 이는 참신한 시적 인식을 획득하기 위해 학습자 자신의 체험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는 것, 다매체 시대의 문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여러 복합양식 장로로의 전환을 통해 각 매체 언어의 고유성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반증한다. 앞으로 이런 점들이보완되었을 때, 디카시를 활용한 시 교육은 교육현장에서 학습자의 주체적인 위상을 적극 도모할 뿐만 아니라 다매체 시대 문학의 특성을 실질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발판을 마련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examples of the use of dica-poem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o seek educational use of dica-poem. Dica-poem is a complex style genre that combines the visual language of photography and the written language of poetry, and has considerable value for use in literature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article was able to utilize dica-poem in the following direction by combining it with the material of the place in the curriculum of the class. First of all, students went from appreciating Andong-themed poems to experiencing the original poetry scene and proceeded with activities to rewrite it into the genre of dica-poem. Next, they captured a new poetic perception from Andong’s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and tried to create it as dica-poem.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go from a passive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poem to an active reader’s point of view, either by contextualizing the theme or inspiration of the original poetry into their own lives, or by demonstrating creative insight beyond the original a priori perception of the original place. Of course, in the learning process, the students’ excessive use of conceptual and schematic expressions or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genre of dica-poem remained a limitation of the class. In other words, this suggests that learners need an opportunity to more effectively implement their own experiences in order to acquire novel poetic recognition, and this proves that in order to understand literature in the multi-media er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uniqueness of each media language through the transition to various multiple complex stylistic genres. When these points are supplemented, poetry education using dica-poem will not only actively promote the learner’s independent status in the educational field, but also provide an important stepping stone for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the multi-media era.

목차

1. 서론
2. 디카시를 활용한 수업 설계 사례와 교수 학습 방법
3. 수업의 성과 분석과 교육적 의의
4. 수업의 한계점과 향후 보완 및 발전 방향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호영(Choi Hoyoung). (2021).다매체 시대의 문학교육과 디카시(dica-poem)의 교육적 활용 방향. 문화와융합, 43 (8), 143-166

MLA

최호영(Choi Hoyoung). "다매체 시대의 문학교육과 디카시(dica-poem)의 교육적 활용 방향." 문화와융합, 43.8(2021): 143-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