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송대(宋代) 장재 철학에 미친 불교의 영향

이용수 112

영문명
Influence of Buddhism on Philosophy of Zhangzai in Song Dynasty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제란(Kim Jera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8호, 961~98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송대 유학의 대표적인 우주론 중 하나인 장재(橫渠 張載, 1020-1077)의 ‘태허즉기(太虛卽氣)’설은 불교 공(空) 사상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된 동시에 불교의 지대한 영향을 받아서 성립되었다. 그리고 이후 성리학의 형성과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장재는 ‘태허(太虛)’를 우주의 근원적인 본체로 보고, 천지만물 모두가 실체로서의 태허에서 파생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본체로서의 태허를 기(氣)의 본체로 삼은 것이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허공이 텅 빈 무가 아니라 기로 가득차 있다고 봄으로써, 세계를 공(空)으로 보는 불교에 대한 비판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공을 무로 오인한 격의불교의 오해를 답습한 논의인 것으로 여겨진다. 장재가 말한 ‘태허즉기’의 원융의 관계는 동산 양개(洞山良价)의정편오위설(正偏五位說) 중 제3위의 정중래(正中來), 선불교의 ‘성상일여’, ‘색공불이’, ‘일다상즉’ 사상과 다르지 않다. 장재의 ‘허(虛)’는 선불교의 실상 본체로서의 진여, 자성, 또는 진여의 당체인 것이다. 심성론에서, 장재는 인간은 태허의 응집으로서, 태허가 응집하는 때 기의 청탁편정(淸濁偏正)이 생겨나기 때문에성에도 저절로 청탁편정의 구별이 있게 된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인간의 본성은 순정한 부분과 치우친 부분이 있게되는데, 전자는 ‘천지의 본성(天地之性)’이고 후자는 ‘기질의 본성(氣質之性)’이다. 천지의 본성은 미발(未發)이므로‘순수지선’인 데 대하여, 기질의 본성은 이발(已發)로 ‘유선유악’이다. 천지지성 기질지성은 대승기신론 ‘일심이문(一心二門)’의 유학적 번역으로서, 천지지성은 진여문이고 기질지성은 생멸문에 해당한다.

영문 초록

Hengqu Zhangzai(橫渠 張載, 1020-1077), one of the representative cosmological theories of Confucianism in the Song dynasty, started as a critique of the Buddhist idea of emptiness(空) and, at the same time, had a profound influence on Buddhism. received and accomplished. Afterwards, it ha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Zhangzai viewed ‘Supreme Void(Taixu, 太虛)’ as the fundamental substance of the universe, and thought that all things in heaven and earth were derived from ‘Supreme Void’. Supreme Void as the substance was used as the main substance of ‘qi (氣)’. His dynamic view of ‘qi’ alternating between its congealed and rarified states eanabled him to offer a positive alternative to such concepts as the Buddhist emptiness (空). But I think that this is a discussion that followed the misunderstanding of Gyukgyi Buddhism, which misunderstood emptiness for nothing(無). The relationship between ‘Supreme Void(太虛)’ and ‘qi (氣)’ mentioned by Zhangzai is similar to the idea of Zen master Tungshan Liangchieh(洞山良价), and it is not different from Zen ideology. Zhangzai’s idea, ‘Void(虛)’ is the same as ‘True Thusness(眞如)’ and ‘Self nature (self-nature)’ as the actual substance of Zen Buddhism. In the theory of mentality, Zhangzai believed that human beings are agglomeration of ‘Supreme Void’, Taixu, and when Taixu agglomerate various differences(淸濁偏正) of qi is created, so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parts in humane nature. So there aretwo parts, ‘the nature of Heaven and Earth(天地之性)’ and ‘physically endowed nature(氣質之性)’. The original nature of ‘the nature of Heaven and Earth(天地之性)’ is pure good, because that is ‘the state of being prior to the emergence of concrete existence(weifa 未發). In the contrary, the original nature of ‘physically endowed nature’ is good or not good, because that is ‘the state in which human experience have already emerged into reality. I think that The nature of Heaven and Earth is Confucian translation of the aspect of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心眞如門), and ‘Physically endowed nature is the translation of the aspect of Mind in terms of phenomena(心生滅門).

목차

1. 머리말
2. 본체론에 나타난 불교의 영향
3. 심성론에 미친 불교의 영향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제란(Kim Jeran). (2021).송대(宋代) 장재 철학에 미친 불교의 영향. 문화와융합, 43 (8), 961-980

MLA

김제란(Kim Jeran). "송대(宋代) 장재 철학에 미친 불교의 영향." 문화와융합, 43.8(2021): 961-9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