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라인 동료 첨삭피드백 활동에 나타난 글쓰기 학습자의 반응 양상

이용수 223

영문명
A Study of the Patterns of Responses Shown by Writing Students in Peer Feedback Online: Focusing on the Proving Pattern and the Response Patter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박준범(Park Junbeom)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8호, 253~27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으로 진행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동료 첨삭피드백 활동을 통해, 글쓰기 학습자들이 보인 첨삭논평의 제공 양상과 제공된 첨삭논평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들은 첨삭피드백의 주체가 되어 941개의 첨삭논평을 제공했다. 첨삭논평의 제공 양상에서는 ‘내용’과 ‘칭찬’이 가장 높은 제공 빈도를 보였다. 이는 글쓴이가 동료라는 인식으로 인해 ‘칭찬’, ‘독자반응’과 같이 공감이나인상적인 반응이 선호되고, 수정을 요구하는 반응은 최소화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칭찬’, ‘독자반응’을 제외하면‘수용’과 ‘거절’이 7:3 정도의 반응 양상을 보였다. 수용 반응은 ‘표현의 정확성’와 ‘쓰기맥락’에서, ‘지시’와 ‘교정’에서 높은 수용률을 보였다. 거절 반응은 ‘내용’과 ‘조직’에서, ‘비판’과 ‘열린질문’에서 높은 거절률을 보였다. 이를 통해 ‘표현의 정확성’ 영역과 ‘교정’의 방식이 온라인 동료 첨삭피드백에서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수자가 ‘표현의 정확성’에 학습 목표를 둔다면 동료 첨삭피드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동료 첨삭피드백은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에서 모두 효과적이다. 또한 온라인 동료 첨삭피드백을 활용한다면 보다 명확하고구체적으로 첨삭논평을 제공하도록 학습자에게 강조해야 한다. 그리고 동료 첨삭피드백에서 ‘내용’ 및 ‘조직’과 관련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려면 교수자는 ‘표현의 정확성’을 제외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학생들에게 쓰기 과제를제시할 때 교수자는 글을 작성하는 조건들을 상세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글의 수정 여부나 그 방향에 대해 학습자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in which writing students provided comments and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comments provided through online peer feedback in college writing classes. The students, who are the subjects of feedback, provided 941 comments. In terms of the pattern of providing comments, ‘content’ and ‘praise’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provision. This shows that due to the perception that the writer is a colleague, students prefer empathy or impressive responses, such as ‘compliments’ and ‘reflective statement’, and minimize the responses that require correction. Except for ‘praise’ and ‘reflective statement’, ‘acceptance’ and ‘rejection’ showed about 7:3. In response to acceptance, the frequency was high in ‘correctness’ and ‘context’, and in ‘command’ and ‘correction’. And in response to rejection, the frequency was high in ‘content’ and ‘organization’, and in ‘criticism’ and ‘open question’. This confirms that the ‘correctness’ area of focus and the ‘correction’ of mode are effective in online peer feedback. If a teacher sets a learning goal on ‘correctness’, he or she needs to actively utilize peer feedback. Peer feedback is effective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 classes. In addition, if online peer feedback is utilized, teachers should emphasize providing students with more clear and specific commentary.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a student’s writing ability related to ‘content’ and ‘organization’ in peer feedback, teachers should exclude ‘correctness’. Final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detailed conditions for writing when teachers present writing tasks to students. This improves a student’s writing ability and helps the student make accurate judgments about whether the text is modified or directed.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첨삭논평의 제공 양상
4. 첨삭논평에 대한 반응 양상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준범(Park Junbeom). (2021).온라인 동료 첨삭피드백 활동에 나타난 글쓰기 학습자의 반응 양상. 문화와융합, 43 (8), 253-274

MLA

박준범(Park Junbeom). "온라인 동료 첨삭피드백 활동에 나타난 글쓰기 학습자의 반응 양상." 문화와융합, 43.8(2021): 253-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