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신입생 전환기 교육을 위한 역량 도출

이용수 276

영문명
Identifying Competencies for Education in Transition Period of Middle School Freshman: Focused on the Case of C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은상(Lee, Eunsang) 이은주(Lee, Eunj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7호, 603~61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신입생의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역량과 행동지표를 도출하는 것이다. 중학교 신입생 역량과 행동지표를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문헌 검토, 설문조사, 전문가 타당도 검토(2회)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중학교 신입생 역량은 3개 역량군(학습, 학생생활, 공간 및 테크놀로지)으로 유목화하여 총 8개의 역량과 16개의 행동지표가 개발되었다. 학습 역량군은 1. 자기주도학습 역량, 2. 질문생성 및 탐구 역량, 3. 의사소통 및 협업역량, 학생생활 역량군은 4. 자기관리 역량, 5. 대인관계 역량, 6. 민주적 참여 역량, 공간 및 테크놀로지 역량군은 7. 학교공간 활용 역량, 8.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역량과 행동지표에 기반하여 총 15차시 교육을 실행하였다. 신입생 교육 실행에 참여한 교사들은 본 교육이 신입생들에게 친절하다고 인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한 해석과 기존 교육활동과의 효과적인 통합이 필요하다고 평가하였다. 한편, 학생들은 신입생 교육을 통해 중학교 생활에 대한 긴장감과 불안감을 해소하였고, 학교생활에 필요한 실질적인 역량을 확보하였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전환기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마련과 역량 중심의 중학교 자유학년제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to implement transition education.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this study followed a process of relevant literature review,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two-step validity review by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three categorized clusters of competenc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finalized 8 competencies and 16 behavioral indicators. The identified competencies were as follows: Learning Competency Group (1.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2. Question generation and inquiry competency, 3.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y), Student Life competency group (4. Self-management competency, 5.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y, 6. Democratic participation competency), Space and Technology competency group (7. School space utilization competency, 8. Technology utilization competency). Based on the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derived from this study, 15 educational programs were implemented. The teachers who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programs recognized them as the programs that support new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dramatic changes moving from primary to middle school. Furthermore, they evaluated that it was necessary to integrate the existing educational programs and interpretation of the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derived from this study. The students commented that they were able to alleviate worries and anxieties about the adjustment and that they were able to acquire practical skills necessary for their middle school life. This study may provid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strategy to support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programs for youth in transi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competency-centered middle school free grade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상(Lee, Eunsang),이은주(Lee, Eunju). (2021).중학교 신입생 전환기 교육을 위한 역량 도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7), 603-619

MLA

이은상(Lee, Eunsang),이은주(Lee, Eunju). "중학교 신입생 전환기 교육을 위한 역량 도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7(2021): 603-6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