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문화 교과서 연계 도서 속의 장애에 내재된 상징적 의미 탐구

이용수 181

영문명
A Study on the disabilities represented in educational books linked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ocial study textbook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주희(Cho, Jooh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7호, 549~56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아동⋅청소년기에 접한 텍스트를 통해 전달된 지식은 사회화 과정을 통해 성인이 된 이후 개인의 특정한 가치와 태도를 형성하는 데 주요한 영향을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에 개정된 통합교육 교과과정에서 사용되는 도서자료 속에 내재된 장애의 상징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문화 교과서 연계 도서 33권을 선정하고 추출된 장애와 관련한 텍스트를 대상으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사회⋅문화 교과서 연계 도서의 분석 결과는 장애의 개인적 구성의 관점의 장애 이미지와 장애의 사회적 구성의 관점의 장애 이미지로 나누어진다. 첫째, 장애의 개인적 모델의 관점의 장애 이미지는 5개의 하위 범주인 장애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내포한 표현, 비극적인 장애, 호기심의 대상, 영원히 행복한 존재, 교훈적인 존재로 구성된다. 둘째, 장애의 사회적 모델의 관점의 장애 이미지는 ‘차이’로서의 장애와 사회적으로 구성된 장애인 2개의 하위 범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사회⋅문화 교과서 연계 도서가 통합교육 교과과정에 적절한 장애 관련 지식을 전달하고 있다는 증거를 보여주지만, 여전히 장애에 관한 왜곡된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도 여전히 장애에 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는 교과용 도서가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영문 초록

Knowledge acquired through texts during childhood or adolescence has a major impact on the formation of individuals’ specific values and attitudes after they become adults through the socialization process. 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ze the disabilities reproduced in books used in the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This study selected 33 educational books linked to social study textbooks us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extracted texts related to disabilities. The outcomes of the analysis on the educational books linked to social study textbooks were divided into images of negatively and positively reproduced disabilities. First, the images of negatively reproduced disabilities were composed of five subcategories: terms and tones that contained prejudices and stereotypes about disabilities, tragic disability, subject of curiosity, eternally happy beings, and didactic presence. Second, the images of positively reproduced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two subcategories: disability as a “dissimilarity” rather than “difference” and socially composed disability. While this study shows the evidence of educational books being linked to social study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delivering appropriate disability-related knowledge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it also confirms that distorted images of disability are still being convey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still not enough books that convey appropriate knowledge on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s.

목차

Ⅰ. 서론
Ⅱ. 분석 방법
Ⅲ. 분석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주희(Cho, Joohee). (2021).사회⋅문화 교과서 연계 도서 속의 장애에 내재된 상징적 의미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7), 549-568

MLA

조주희(Cho, Joohee). "사회⋅문화 교과서 연계 도서 속의 장애에 내재된 상징적 의미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7(2021): 549-5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