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일 영화 속 식탁이미지를 통해 본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

이용수 611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Dining Tables Images Following Change in Family and Intimacy in Modern Society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니시야마 치나(Nishiyama, China)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8호, 771~79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영화 속 식탁에서의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여주었다는데 가족과 식탁이 가족의 의미를 표상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한국영화는 <가족의 탄생>(2006). <고령화가족>(2013), 일본영화로는 <걸어도걸어도>(2009), <바닷마을 다이어리>(2015)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네 편의 영화는 ‘정상 가족’ 모델에서 균열이 생긴 가족을 다룬 것으로 이혼율 급증, 재혼, 비혼, 저출산, 고령화라는 현대 가족의 변화라는 사회적 배경을 반영한 영화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과 일본영화 네 편 모두가 2000년대 이후에 제작된 영화로서 해당 시기는 한국의 1997년 경제위기, 일본의 1990년대 버블 붕괴로 인해 가족에게 큰 변화가 온 시점으로 영화 속의 가족들은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 가족의 상실과 해체로 재현되어 새로운 가족형태와 친밀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분석 결과, 정상가족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족 형태를 구성하였으며 한국과 일본 가족은 해체되었다가 또다시 재구성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특히 가족이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여성 중심이 되는 가족형태를 보여주었으며, 한국과 일본영화에서 떠올릴 수 있는 가족 이미지는 한 식탁에 모여 앉은 단란한 가족의 모습이었다. 식탁 이미지에서 가족의 행복과 단합 유무를 볼 수 있었고, 식탁에 차려진 음식으로 한 가족이 되는 영상을 통해 가족의 친밀성을 볼 수 있었다. 네 편의 영화 속에 나타난 가족의 공통점은 식탁을 통해 가족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보여주었으며, 미묘한 생활문화의 차이로 가족의 상징을 은유하는 모습의 차이점이 보였다. 한국영화 속 가족의 합은 한 그릇에 담긴 음식으로 단란함을 궁극적·이상적 가족의 모습으로 재현한 반면 일본영화에서는 요리 과정으로 가족을 보여주었다. 식탁은 가족에게는 해체의 순간이 되기도 하며, 재구성의 계기가 되는 가족관계의 중심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the dining table represents the meaning of family through the dismantling and reconstruction of families at dining tables in Korean and Japanese films. This study selected Korean films Family Ties (2006) and Boomerang Family (2013) and Japanese films Still Walking (2009) and Our Little Sister (2015) for analysis. As they show the dissolution of “normal families,” these four films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social background of modern families and their changes, such as increased divorce rates, remarrying, staying single by choice, low birthrates, and the aging society. All four films were produced after the 2000s, following a time in which families had faced significant changes caused by the Korean economic crisis in 1997 and the Japanese asset price bubble’s collapse in the 1990s. In the films, families go through family dissolution and restructuring as well as family loss and dissolution, accurately reflecting these new types of family structures. The analysis shows that, in the process of family dissolution and restructure, families form in way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after losing family members for causes other than social phenomena; Korean and Japanese families are then dissolved but restructured. During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new family structures are created, diverging from the matriarchal “normal family” type. When considering families in Korean and Japanese films, a representative scene that comes to mind is that of a close family sitting around the dining table. The family’s level of happiness and unity is reflected in the shape of the dining table, and the intimacy of the family can be gauged through the type of food set on the table and the images of family bonding. In other words, a commonality of the families shown in the four films is that they answer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a family is through their dining tables, and the subtle differences in lifestyles revealed the difference in family metaphor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Korean films, familial togetherness was shown as sharing food from the same bowl, whereas in Japanese films families bonded over the process of cooking together. Moreover, shared houses stand out as an upcoming type of family housing. In Japan the notion of non-blood related families is not an unfamiliar one, due to the ie (“household”) system. Long-term shared houses were created instead of short-term ones and were designed to be shared with non-kin. It appears, then, that Korean families can no longer disregard this new Japanese family form of “extended family” consisting of members of shared houses.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영화분석 선행연구
3. 연구대상 선정 및 방법
4. 식탁과 가족의 변화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니시야마 치나(Nishiyama, China). (2020).한일 영화 속 식탁이미지를 통해 본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 문화와융합, 42 (8), 771-798

MLA

니시야마 치나(Nishiyama, China). "한일 영화 속 식탁이미지를 통해 본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 문화와융합, 42.8(2020): 771-7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