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공성으로 본 국가무형문화재 제도의 미래지향적 관점과 방향

이용수 219

영문명
Viewpoint and direction of future-oriented on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nature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윤지(Kim, Yun-Ji)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8호, 827~84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국가무형문화재의 문제가 사회적 갈등으로 확대되는 것을 보면서 그 현상을 ‘민간실패’로 직시하였고, 궁극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공공성’이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먼저 ‘공공성’이라는 다차원적인 개념 속에서 공통적인 특성과 가치를 도출했다. 그리고 국가무형문화재와의 그 관계성을 통해서 공공성은 ‘성숙한 보다 나은 삶’을 위한 국가의 행정적 노력, 과정, 그리고 목적으로 볼 수 있으며, 국가무형문화재는 역사적 흐름과 사회적 배경 속에서 인간 사유의 진화와 함께 발전하여 전승되어온 관계적 전형(典型)의 공공재라는 주제로 개념화하였다. 이러한 관점으로 국가무형문화재의 제도가 수립되고 실천된다면, 신뢰·상생·정의로운 무형적 예술사회의 조성 또한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gards the phenomenon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s a Civil Failure , and attempts to suggest the ultimate solution to these issues from the novel viewpoint of “Public Nature”, as the issues related to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have extended to social conflicts. First, this study derive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alues from the multidimensional notion of “Public Nature”, and highlights its relationship with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us, this study examines “Public Nature” in terms of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state s administrative efforts, process, and purpose toward a mature and better life.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o be public property and to have continuity in how human perception evolves along with social relationships. To achieve participation, public happiness, public harmony and public order, this study suggests the frame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ness, based on the following eight principles: eurhythmia, normativity, openness, commonality, public interest, public opinion, impossibility of appropriation, and fairnes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sight on setting a direction for future task systematization regarding the conceptual confusion of the publicnes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its essence and value.

목차

1. 들어가며
2. 문제파악 및 현실 직시
3. 공공성과 국가무형문화재
4. 공공성으로 본 국가무형문화재 제도의 프레임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지(Kim, Yun-Ji). (2020).공공성으로 본 국가무형문화재 제도의 미래지향적 관점과 방향. 문화와융합, 42 (8), 827-847

MLA

김윤지(Kim, Yun-Ji). "공공성으로 본 국가무형문화재 제도의 미래지향적 관점과 방향." 문화와융합, 42.8(2020): 827-8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