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월 지역 민요의 현대적 수용 양상

이용수 76

영문명
The Contemporary Accommodation Aspect of Yeongweol Region Folksongs - Centering on the Sad Story of Danjong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박선애(Park, Seon-ae)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8호, 511~53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단종애사가 나타난 영월의 지역 민요가 현대적으로 수용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첫째, 영월의 지역 민요 가운데 단종애사와 관련한 민요는 단종의 일대기를 노래한 <대왕인산요>와 <한양가>, <영월팔경가>, <쌍다리 노래>가 있다. 둘째, 문화콘텐츠로서의 단종애사를 고찰하였다. 우선, 공간콘텐츠로서 단종문화제의 대표적인 행사 중 하나로 2007년부터 단종 국장을 재현하고 있다. 단종 국장을 재현할 당시 이 행사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리꾼은 선소리로서 단종의 일대기를 내용으로 하는 <대왕인산요>를 부른다. 현재 영월 지역에서는 단종애사를 지역 문화 축제로 승화시켜 즐기고 있다. 이 행사는 단종 국장을 실제로 재현하는 공간콘텐츠로서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그리고 영월 지역에서는 관광 상품으로서의 청령포와 쌍다리가 있다. 우선, <영월팔경가>에서 단종의 슬픈 귀양살이가 잘 드러난 ‘영포두견(泠浦杜鵑)’의 청령포가 주목된다. 이곳에는 ‘금표비(禁標碑)’와 ‘노산대’, 그리고 ‘망향탑’과 단종이 기거를 하던 ‘단종어소(端宗御所)’가 있으며 단종의 비참한 모습을 지켜보고 슬픈 말소리를 들었다고 하는 ‘관음송(觀音松)’이 있다. 현재 청령포는 <영월팔경가>의 내용에서 일부 차용된 단종의 슬픈 유배생활 장소를 관광 상품화한 것이다. 다음으로 쌍다리는 <쌍다리 노래>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쌍다리(섶다리)의 주재료인 섶은 단종의 나약함이라기보다는 섶의 끈질기고 ‘강인한 생명력’에 기인한 것이다. 이 섶다리는 현재에도 매년 설치되어 단종의 참배 행사를 세인들에게 상기시키고 있다. 이는 <쌍다리 노래>에서 단종의 참배 행렬 당시 필수 코스인 쌍다리를 추억하는 장소를 관광 상품화한 것이다. 따라서 <대왕인산요>를 내용으로 하는 단종 국장 재현은 단종애사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축제와 실제 주민이나 관광객들이 참여하는 공간콘텐츠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영월팔경가>의 청령포와 <쌍다리 노래>의 쌍다리는 각각 단종의 슬픈 유배생활 장소와 단종의 참배 행렬을 추억하는 장소로서의 문화콘텐츠적 의미가 있다. 이는 단종과 관련한 영월 지역민들의 ‘문화적 욕구’와 영월의 관청이 함께 이루어낸 문화콘텐츠인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research, we have looked around the contemporary accommodation aspect of Yeongweol region folksongs in which Danjong’s sad story was represented. First, the folksongs in Yeongweol related with Danjong’s sad story are which sang Danjong’s life story, , and . Second, we looked around Danjong’s sad story as a culture content. The state funeral of Danjong is reproduced since 2007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events in Danjong Cultural Festival. When the state funeral is reproduced the singer who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event sings first the content of Danjong’s life story. Presently in Yeongweol region the sad story of Danjong is sublimated as a regional cultural festival and is enjoyed. This event has a meaning as a space content. And in Yeongweol region there are Cheongryeongpo and Ssangdari as sightseeing commodity. Above all Cheongryeongpo of ‘Yeongpodugyeon(泠浦杜鵑)’ is noted where Danjong’s sad exile living is exposed in . There are ‘Geumpyobi(禁標碑)’ ‘Nosandae’ ‘Manghyangtap(nostalgia tower)’ ‘Danjong Eoso(端宗御所)’ where Danjong lived and ‘Gwaneumsong(觀音松), that watched the misery of Danjong and heard his sad voice. Now Cheongryeongpo is a sightseeing commodity of Danjong’s sad exile living place partly borrowed from the content of . Next, as is well known in the content of , the seop(brushwood) main material of Ssangdari(Seopdari) is due not to Danjong’s weakness but to the ‘tough vitality’ of the seop(brushwood). Presently, this seopdari is installed annually to remind people of the event of paying respect to Danjong. This is a sightseeng commercialization of remembering Ssangdari which is an essential course in a procession paying respect to Danjong. This is a cul2ture content accomplished by the cultural desire of the Yeongweol residents, in relation to Danjong, and Yeongweol administration.

목차

1. 머리말
2. 민요에 나타난 단종애사
3. 문화콘텐츠로서의 단종애사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애(Park, Seon-ae). (2020).영월 지역 민요의 현대적 수용 양상. 문화와융합, 42 (8), 511-537

MLA

박선애(Park, Seon-ae). "영월 지역 민요의 현대적 수용 양상." 문화와융합, 42.8(2020): 511-5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