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자인 씽킹 기반 창의적 활동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이용수 946

영문명
IPA on the creative activity based on design thinking: Focused on design thinking Class and problem based learning Clas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규락(Cho Kyoo-Lak) 김선연(Kim Sun Y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1호, 39~6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 수업과 문제중심학습 수업에서 창의적 활동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디자인 씽킹 수업에 참여한 97명의 대학생과 문제중심학습 수업에 참여한 124명의 대학생이며, 디자인 씽킹 5단계(공감-정의-발상-프로토타입-테스트)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활동 31개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 단계에서 디자인 씽킹 수업에서만 객관적인 학습자료 수집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창의적 활동임이 밝혀졌다. 둘째, 정의 단계에서 디자인 씽킹 수업에서 본질적 가치 통찰이, 문제중심학습 수업에서 문제 프레이밍/리프레이밍 활동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창의적 활동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발상 단계에서 디자인 씽킹 수업과 문제중심학습 수업 모두 우선적으로 시급히 개선이 필요한 집중영역의 창의적 활동이 도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디자인 씽킹 수업에서 우선순위 결정 활동이 중요성에 비해 과도하게 수행되는 활동임이 밝혀졌다. 넷째,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문제중심학습 수업에서만 실패경험 공유 활동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창의적 활동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테스트 단계 문제중심학습 수업에서만 전문가 자문 활동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활동으로, 자체 평가 활동이 중요성에 비해 과도하게 수행되는 활동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디자인 씽킹 수업에서 공감과 문제 정의 활동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학습활동 설계와 교수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문제중심학습과 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analyz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creative activity in both design thinking class and problem-based learning class.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survey on the 31 creative activities required in 5 stages (empathy, definition, ideation, prototype, test) of the design thinking, which of the subject was 97 college students in a design thinking class and 124 college students in a problem-based learning class.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revealed that at the empathy stage, objective learning materials collection only in the design thinking class is creative activity that should be urgently improved. Second, it showed that at the definition stage, essential value insight in the design thinking class and problem framing/reframing activity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class is creative activity that should be urgently improved. Third, it revealed that at the ideation stage, there is no creative activity that should be urgently improved in both the design thinking class and the problem-based learning class, and that priority decision activity is activity that is performed too much in contrast to its importance. Forth, it revealed that at the prototype stage, shared activity of failure experience only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class is creative activity that should be urgently improved. Fifth, it showed that at the test stage, expert advisory activity only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class is creative activity that should be urgently improved, and that self evaluation activity is activity that is performed too much in contrast to its importance. The study presented several implications including the necessity of concrete learning activity design and instructional support on the empathy and definition stage in the design thinking class; the development of brand new teaching-learning model such as design thinking-PBL(D-PBL) model that is integrated problem-based learning into design think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규락(Cho Kyoo-Lak),김선연(Kim Sun Yun). (2020).디자인 씽킹 기반 창의적 활동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1), 39-61

MLA

조규락(Cho Kyoo-Lak),김선연(Kim Sun Yun). "디자인 씽킹 기반 창의적 활동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1(2020): 39-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