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영어수업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기대

이용수 491

영문명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n Public English Education: Investigating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Satisfaction Leve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권서경(Suh Keong Kwon) 김성혜(Sung Hye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1호, 817~83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0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 영어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과 기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대규모 전국단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무작위표본추출 방식을 통해 표집된 전국 300개 초등학교 3∼6학년 초등학생 4,68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실시되었고 학생들은 현재의 학교 영어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영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 흥미, 영어 기능별 선호도, 그리고 학교 영어 수업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인프라에 대한 선호도에 대해 응답하였다. 응답 결과는 전체 학생의 결과를 비롯하여 성별, 학년, 그리고 사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각 변인 간의 차이가 있는지도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현재 학교 영어수업에 만족하고 있었는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았고 학년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하락하고 있었으며 사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수업 만족도가 낮았다. 또한 학생들은 주로 영어 쓰기 기능에 자신이 없는 반면 듣기와 말하기에는 비교적 높은 자신감을 보였다. 이런 현상은 성별의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 않았고 학년과 사교육 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요인들을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의 정의적인 측면의 내재적 요인이 교내 인프라나 교수학습 프로그램과 같은 외부 요인보다 학교 영어수업 만족도를 크게 높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교 영어교육 내실화를 추진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English subject was first introduced 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1998, series of teaching and learning policies followed by relevant studies has been applied to the classrooms. However, a number of problems and issues still exist,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achievement gap among students, difficulty levels, or ways to teach four skill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4,689 elementary schools students in grade 3 to 6 from 300 schools nationwide and investigated their perceptions towards the English lessons and learning experiences. Specifically, we focused on identify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English classrooms, their affective domain towards learning English, and perceptions on various English learning programs run at schools. The responses to these questions were analysed to compare differences by gender, grades, and private cram schools experience. Finding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ublic English education, but this varied by their gender, grade, and private cram school experience. Students also reported that writing is the least confident skill while listening and speaking are the most confident skills. These differences in level of confidence on each skill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grades and private cram school experience, but not by gender. Findings of factor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affective domain factor had a stronger positive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level more than extrinsic factor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서경(Suh Keong Kwon),김성혜(Sung Hye Kim). (2020).학교 영어수업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기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1), 817-837

MLA

권서경(Suh Keong Kwon),김성혜(Sung Hye Kim). "학교 영어수업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기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1(2020): 817-8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