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흡수행을 통해 본 유식불교의 수행법 변천 고찰

이용수 219

영문명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Practice Method of Yogācāra Buddhism through Mindful Breathing ‐ Focusing on Yogācārabhūmi‐Śāstra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박재용(Park, Jae-Yo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1호, 977~100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유식불교의 수행법의 변화를 호흡수행을 중심에 두고 고찰하여 유식불교 고유의 수행 대상과 교리상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초기불교의 호흡수행은 입출식념경 등에 잘 설해지고 있는데, 부정관(不淨觀) 수행의 부작용을 극복하고자 설해졌다. 초기불교에서 호흡수행은 번뇌를 제거할 뿐 아니라 사과(四果)를 성취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부파불교의 호흡수행에 대해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구사론 을 중심으로 고찰해보면, 입출식념경 과 같은 수행 방식을 취하면서도 이를 설명하는 방식이 달라진다. 아비달마구사론 의 호흡수행은 수혜(修慧)를 성취하는 방법 중 하나로 소개되며, 방법이 초기불교와 유사하지만 수행의 과(果)를 포함하는 수행계위가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유식불교의 호흡수행은 유가사지론 <성문지>에 등장한다. <성문지>의 호흡수행을 보면 부파불교처럼 수행계위에 수행법을 대응시키는 경향이 발견된다. 그러나 호흡수행법은 <성문지>에서만 다뤄지고 있고, 후대 유식경론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그 이유를 유식불교 수행법의 변천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초기불교에서는 부정관처럼 구체적인 사물을 직접 인식하고 수행대상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유식에서는 ‘오직 식뿐’이라는 교리에 걸맞게 수행대상은 사물을 닮은 마음속의 영상[所知事同分影像]이며, 교법도 대상으로 한다. <성문지>에만 호흡수행법이 기술되어 있는 이유로서, 유가사지론 의 찬술 성격을 들 수 있다. 유가사지론 에서는 아비달마와 대승경전에 설해진 여러 교의들을 수집 종합하여 대승의 교의체계를 수립하고자 의도한 결과 <성문지>에 호흡수행법이 소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유식불교 고유의 수행법은 유가사지론 <보살지>에 등장하며 대표적으로 사심사관을 들 수 있는데, 사물과 언어의 문제를 제대로 볼 것을 강조한다. 호흡수행 대신 사심사관 등이 유식불교의 주요 수행법이 된 이유로는 유식불교 교리에 맞도록 수행대상이 변화한 것이 그 배경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eeks to examine changes in the methods of practice in Yogācāra Buddhism, focusing on the practice of mindful breathing, and to identify the object of practice distinct in Yogācāra Buddh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tenets. In early Buddhism, the practice of mindful breathing was taught to overcome the side effects of the contemplation on impurity. The practice of mindful breathing was also a means to not only do away with agony, but also attain enlightenment. The practice of mindful breathing is one of the important methods of practice in Abhidharma Buddhism as well. An examination of this practice is described in “Abhidharmakośabhāṣya.” The practice of mindful breathing in Abhidharma Buddhism is characterized by Abhidharma Śāstra, which includes the result of practice. In Yogācāra Buddhism, it is described only in “Yogācārabhūmi‐Śāstra” Śrāvakabhūmi, and it does not appear in any other YogācāraSūtra and Śāstra.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reason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s in the methods of practice in Yogācāra Buddhism. The reason why the practice of mindful breathing in Yogācāra Buddhism is described only in Śrāvakabhūmi is attributable to the manner in which “Yogācārabhūmi‐Śāstra” is written. “Yogācārabhūmi‐Śāstra” synthesizes and compiles various tenets of “Abhidharma” and “Mahayana Sutras.” That is why the practice of mindful breathing, which was a tradition of early Buddhism, was introduced in Śrāvakabhūmi. The practice of mindful breathing distinct in Yogācāra Buddhism appears in YogācārabhūmiŚāstra Bodhisattvabhūmi, andits notable examples include the four reflections(sashimsagwan). Those practices emphasize seeing clearly through the relations between objects and language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object of practice changed in Yogācāra Buddhism to suit its tenets, which in turn led to changes in the methods of practic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불교경론의 호흡수행
Ⅲ. 유식경론의 수행법 변천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용(Park, Jae-Yong). (2019).호흡수행을 통해 본 유식불교의 수행법 변천 고찰. 문화와융합, 41 (1), 977-1004

MLA

박재용(Park, Jae-Yong). "호흡수행을 통해 본 유식불교의 수행법 변천 고찰." 문화와융합, 41.1(2019): 977-10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