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학계열 여학생의 교수 및 교우와의 상호작용 유형과 예측요인

이용수 280

영문명
The Pattern and Predictors of Female Students’ Interaction with the Faculty and Peer in Engineer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곽은주(Kwak, Eun Ju) 배상훈(Bae, Sang Ho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8호, 995~102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계열 여학생들이 경험하는 교수 및 교우와의 상호작용 양상을 유형화하여 몇 개의 하위 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별로 교수 및 교우와의 교류면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학생 개인 특성과 대학 특성이 각 집단을 구분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전국 85개 대학에 재학 중인 공학계열 여학생 4,481명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 및 교우 와의 상호작용을 기준으로 세 가지 하위 집단이 나타났다. 각 집단에 대해서 ‘낮은수준의 상호작용 집단’, ‘중간 수준의 상호작용 집단’,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전체 표본의 절반 정도가 교수 및 교우와 낮은 교류를 하는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 개인 특성에서는 학년, 전공 만족도, 대학 몰입이, 대학 특성으로는 대학의 소재지가 준거 집단인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 집단’과 다른 2개 집단을 구분하는 데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 도권 대학과 비교해서 지방대학 공학계열에 재학하는 여학생일수록 교수 및 교우와의 상호작용이 낮을 가능성이 더욱 크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different patterns of female students’ interaction with the faculty and their peers in the engineering college.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patterns could be differentiated in terms of individual and the university related variables. The study used the data from 2015 Korean-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K-NSSE). Samples include 4,481 female students in engineering.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LPA) to identify different patterns of the interaction with the Faculty members and Peer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redictors to the classification among latent classes. The study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tterns of female students’ interaction with professors and pe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otential classes. They include ‘low-level interaction group’, ‘middle-level interaction group’ and ‘high-level interaction group’. Second, 55.8% of samples were found to belong to the low level interaction group.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students such as grade, satisfaction on the major, and institutional committment were found to be related to group classifi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the location of the institution were found to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the group.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female engineering students may feel the ‘chilly climate’ at the university campus in terms of human environments. It may be imperative that local universities need to make more efforts to change campus environments into more female-friendly campus environ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은주(Kwak, Eun Ju),배상훈(Bae, Sang Hoon). (2019).공학계열 여학생의 교수 및 교우와의 상호작용 유형과 예측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18), 995-1022

MLA

곽은주(Kwak, Eun Ju),배상훈(Bae, Sang Hoon). "공학계열 여학생의 교수 및 교우와의 상호작용 유형과 예측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2019): 995-10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