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91
- 영문명
-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Development Stag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on Their Empower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경(Kim, Jinkyung) 이정미(Lee, JungMi) 신현주(Shin, Hyun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8호, 49~7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에 따라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교사발달단계별 특성과 직무만족도의 증진은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향상시켜 질 높은 보육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등의 사회인구학적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연령 및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에 따른 임파워먼트를 분석한 결과, 임파워먼트 전체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 영향력에서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입문수용단계, 능력구축단계, 열중·성장단계와 직무만족도와 임파워먼트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고, 안일안주단계와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와 임파워먼트 간에도 정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의사결정에는 동료관계 및 직무자체, 전문성 신장에는 동료관계, 직무자체, 근무환경이, 지위에는 능력구축단계와 직무자체가, 자기효능감에는 동료관계가, 자율성에는 동료관계가, 영향력에는 능력구축단계, 동료관계 및 직무자체 만족도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 자율성에서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인 입문수용단계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 empowerment was examined so that the resultant data could be provided so as to promote the characteristics by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and their job satisfaction,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as teachers, and eventually to effectively practice high-quality child c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education, and career among other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y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 empowerment according to age and career. Second, the analysis of child care teachers empowerment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stage and job satisfaction
indicated that,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the entire empowerment and sub-factors of empowerment, the main effect and the interactive effect were significant. Third, their introductory acceptance stage, competence building stage, and attention·growth sta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job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Their
complacent settlement stage and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Fourth,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empowerment indicated this: Their decision making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olleague relationship and job itself; the promotion of professionalism by colleague
relationship, job itself and working environment; their position by the competence building stage and job itself; their self-efficacy by colleague relationship; their autonomy by colleague relationship; their influence by competence building stage, colleague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Meanwhile, the autonomy of child care
teachers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their development stage, which is the introductory acceptance sta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유형과 초등학교 시기의 학교적응과의 관계: 잠재계층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부정적정서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분리-개별화와 자기위로능력간의 관계: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 영화 ‘버킷리스트’에 나타난 노년기의 성찰과 학습 사례연구
- 바람직한 인성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유치원 교사들의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경험 이야기
- 언어적성과 어휘학습 지도의 상관성
- 대학 강의평가에 대한 학생․교수 집단 간 인식 분석: K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 소집단 프로젝트 기반 평가 활동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소규모학교의 과학체험활동 운영 방법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탐색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 연구: 초·중급을 중심으로
- 신입생의 대학교육서비스 요구도와 대학생활적응 연구
- TIMSS 2019에서 eTIMSS 평가문항의 도입과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사용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특성의 차이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북한 영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교사의 자기장학을 통한 만3세 부적응 유아의 유치원 적응행동 변화 탐구
-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성, 학교적응의 관계
- 대학생들의 창의인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
- 학습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어휘 교재의 개발 방향 탐색
- 국내 중등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연구 동향
- 노인의 삶의 의미, 가족지지, 죽음불안 및 웰다잉(Well-dying)에 관한 연구
- 초임영유아교사의 교직생활 어려움과 지원요구
- 학습자의 개인 학습과 집단 학습의 상호작용을 활용한 교수학습 설계: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을 중심으로
- 상담회기 수행에 관한 상담자 자기성찰 연구: 축어록 전사 경험을 중심으로
- Rasch 모형을 활용한 자유학기 활동프로그램 평가 척도 타당화
- 반려견 매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 의미 규범의 문법교육적 재개념화
- 성인초기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격려를 통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조절된 매개효과
- 영향력 있는 ‘대학총장의 지도성’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사효능감이 인공지능기술 활용 학습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메이커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교과역량의 관계 분석: 내용체계 ‘기능’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인성에 대한 현직 원장들의 인식
-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및 취업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정서 중심의 고전소설 교육 연구: <운영전>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남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동기 및 참여 만족이 학교적응유연성과 학업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 1학년 어휘발달지연아동과 일반아동의 단어읽기, 읽기유창성, 읽기이해능력 특성
- 음악적 요소를 기반으로 한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 K-MOOC에서 학습효과 및 상호작용 증진에 대한 시스템 운영 경험자의 인식
- 2015 개정 초등학교 국어과 문법 영역의 교과서 실행 양상 분석
-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 사회과 교실수업연구를 위한 관점 제안 - 엘리아스의 ‘문명화 과정’을 중심으로 -
- 초등학교 3~6학년 ADHD 아동과 또래 일반아동의 은유이해 특성 비교
- 지구과학교육의 연구 동향: 데이터 마이닝 기법 잠재디리클레할당을 이용하여
- 공학계열 여학생의 교수 및 교우와의 상호작용 유형과 예측요인
- TIMSS 2019의 중학교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과정 비교 분석
-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에 따른 노트 필기 양상과 노트 필기에 대한 인식 비교 분석
- <칠곡 가시나들>영화를 통한 노년교육의 의미
- 학교교육실습 전후의 예비보건교사로서 교직선택동기, 교직관 및 교사 역할 변화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이해에 관한 고찰
- Developing a Project-based Learning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English Majors: A Needs Analysis
- 델파이 조사를 통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유아교육 방향 탐색
- 양육스트레스, 부모자녀상호작용 및 양육분담이 학령전기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
- 토익 시험의 코퍼스 특성이 대학생의 성적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가상현실(VR) 연구와 교육적 활용 동향 분석
- 중등교원 양성과정의 교직과목에 대한 사범대학, 교직과정이수자, 교육대학원생들의 인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교육 보편화에 따른 중국 학자금 대출 제도와 미국 연방 학자금 대출 제도 비교분석
- 라이프코스 관점으로 본 한국 고등교육 진학 성인이주민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베트남 대학생들의 가정배경, 학교경험 및 학업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