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실담화를 통한 지식의 협력적 구성과 지적·심리적 저항과 충돌

이용수 330

영문명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through Classroom Discussions and Students’ expressed “Resista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순아(Lee Soon Ah)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9호, 831~85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혼자 책을 읽는 것보다 둘씩 혹은 여럿이 나누는 대화를 통 해 어떤 정보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습득하고 지식을 효과적으로 축적하기도 하는 데, 이는 왜 그럴까라는 물음에서 이 논문은 출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학습 에 있어서 학생들 간에 이루어지는 협력적 대화의 중요성과 가치를 논의하고 협력 적 교실담화의 기제로서 지적·심리적 저항과 충돌의 역할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하 였다. 본고에서는 협동과 구별되는 협력의 의미를 살펴보고 담화의 본질적인 속성으 로서 사회성, 상호작용성, 맥락성과 대화성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협력은 두 사람 이 상이 대화를 통해 어떤 경험이나 개념에 대한 공유된 의미를 형성하는 것이고, 그 대화 과정에서 학생들은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관점과 목소리를 경험하며 적극적 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하게 된다. 학생들은 협력적 담화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 는 인지적인 불균형과 상반된 아이디어 간의 충돌을 표현하는데, 이는 새로운 아이 디어나 관점을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는 생산적이고 열려있는 대화의 공간을 창출 하는 데 기여한다. 결과적으로 지적·심리적 저항과 충돌은 자신의 입장을 표명하고 나와 다른 관점을 고려해서 기존의 관점을 바꿀 수 있는 변화의 촉매제로서의 역할 을 함으로써 개인과 집단의 지적 성장을 가져온다. 끝으로 이 논문은 질문과 토론이 사라진 우리나라 교실 수업에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 학생들의 다양한 관점과 의 견이 존중되고 학습과정에서 그들이 느끼는 지적·심리적 저항이 자유롭게 표현되는 협력적 교실담화를 촉진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and classroom discourse in learning, springing from a question of why talking and working together would be more effective in knowledge building than reading and studying alone. Simply setting students up for a discussion does not guarantee that they will actively exchange ideas and engage in meaning-making activities. For collaborative discussions, it is crucial how students react to expressed ideas, negotiate with multiple voices, and make their own meaning. In this article, the nature of collaborative discourse is discussed and the concept of “Resistance” that students experience and express in classroom discussions is introduced. Collaborative classroom discourse is based on social, reciprocal, situated, and dialogic interaction. Generally, resistance did seem centered on negative emotions or reluctance to engage, but this study suggests that resistance would positively function as the initial impetus to considering new ideas and contribute to an open and productive discuss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clusions are draw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협력(collaboration)의 의미
Ⅲ. 담화의 본질적 속성
Ⅳ. 교실 담화를 통한 지식의 협력적 구성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순아(Lee Soon Ah). (2015).교실담화를 통한 지식의 협력적 구성과 지적·심리적 저항과 충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 (9), 831-851

MLA

이순아(Lee Soon Ah). "교실담화를 통한 지식의 협력적 구성과 지적·심리적 저항과 충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9(2015): 831-8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