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업 이러닝 영어 교육훈련의 교수-학습 실재감 연구

이용수 441

영문명
A study on Effectiveness of Teaching-learning Presence in English e-learning as Corporate education-train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송고은(Song Ko E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9호, 557~57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기업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온라인 영어교육이 확대되는 추세 속에 영어 이러닝에 대한 교수-학습 실재감이 구성원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서울 에 본사를 두고 직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영어교육업체에 영어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위탁 실시하고 있는 3개 기업을 선정하여, 이러닝 영어 교육훈련을 이수한지 3개월 이상 1년 미만의 남녀 임직원 164명의 설문조사자료를 가지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 다. 기업 이러닝 영어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실재감이 교육훈련 프로그램 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교수실재감, 인지학습실재감, 감성학습 실재감을 독립변수로 하여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인 반응수준, 학습수준, 전이 수준, 결과수준 각각을 종속변수로 놓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교 육훈련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교수-학습 실재감 하위변인의 영향력은 모두 교수 실재감 > 인지학습실재감 > 감성학습실재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으로 시행되는 기업 이러닝 영어교육의 효과성, 즉 교육프 로그램 내용에 대한 만족도, 학습된 정도, 현업에의 적용 정도, 그리고 교육훈련 프 로그램의 목표인 업무 역량의 향상 정도가 영어 이러닝 환경의 교수설계와 조직화, 학습 촉진과 지원 역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In light of the increasing trend toward online English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stablish whether teaching-learning presence positively enhances the effects of English e-learning in corporate HRD education and training. The three firms selected for the study have head offices in Seoul and have entrusted the implementation of English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o online English education company.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ing-learning presence on program outcomes,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164 male and female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who had completed e-learning-based English education and training at least three months but not more than one year earlier. The survey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eaching presence, cognitive learning presence, and emotional learning pres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response levels, learning levels, transference levels, and result levels as dependent variable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ults, among the sub-variables of teaching-learning presence, teaching presence showed the largest effects, followed by cognitive learning presence and emotional learning presence. The results confirm that program effectiveness, as measured by satisfaction with program content, degree of learning, degree of application to field work, and degree of enhancement of work capacity (which is the goal of education and training) may vary according to teaching design, organization of the e-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promotion, and support rol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고은(Song Ko Eun). (2015).기업 이러닝 영어 교육훈련의 교수-학습 실재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 (9), 557-575

MLA

송고은(Song Ko Eun). "기업 이러닝 영어 교육훈련의 교수-학습 실재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9(2015): 557-5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