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중학교 역사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이용수 178

영문명
Teacher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by Implementing 2009 Revised Curriculum Middle School history Achievement Standard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길말선(Kil, MalSun) 남교민(Kil, MalSun) 김대현(Kim, DaeHy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7호, 631~65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7.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9 역사과 성취기준에 대해 현장의 중학교 역사 교사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 수업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6명의 역사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2016년 1월부터 4월까지 3~5회에 걸쳐 심층 면담을 한 뒤 면담결과를 전사하고 기록하여 질적 내용분석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09 역사과 성취기준의 이해 측면에서는, 역사과 교사들은 자신들이 늘 가르쳐오던 학습내용으로 익숙하게 받아들여 성취기준에 대해서 크게 의미를 두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활용의 측면에서는 수업과 평가에서 업무에 필요한 문서 작성 위주의 형식적인 활용을 하고 있었으며, ‘교과서’가 기준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었다.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교사, 교육과정, 문화 및 환경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성취기준에 대한 공감의 범위를 확장시켜야 한다. 둘째, 성취기준의 진술형태를 각각의 역할에 맞게 보다 교사 친화적으로 진술 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수업에 대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교사문화가 형성되도록 학교와 제도 개선이 요구 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and states implications on how the current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understand the 2009 historica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how they use in the actual classes.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ith 6 history teachers in 3 to 5 tim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2009 historical department’s achievement standards, teachers do not put a lot of meaning as they are accustomed to the education content. In terms of utilizing, the standard has not been properly used in either for evaluation or teaching. Also, the standard has been used just for the formal documentations and teachers tend to do textbook-teaching. According to results of this study factors such as teachers, curriculum, culture and environment have great influence. Following 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rst, sympathy on the achievement standard should be extended. Second, the formation should be in teachers-friendly way rather than in formal documentation way. Third, school system should be improved in a way which cultivates the cultures to cooperate between teachers regarding the classes’ methods and contents by reducing the non-teaching work loa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성취기준에 대한 역사과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길말선(Kil, MalSun),남교민(Kil, MalSun),김대현(Kim, DaeHyun). (2016).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중학교 역사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7), 631-655

MLA

길말선(Kil, MalSun),남교민(Kil, MalSun),김대현(Kim, DaeHyun).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중학교 역사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7(2016): 631-6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