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체능계 대학생의 학술적인 글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위한 텍스트 분석

이용수 129

영문명
Teaching-Learning Model for Academic Writing Based on Text Analyses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양태영(Yang, TyeYo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7호, 541~56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7.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예체능계열 대학생은 전공의 특성상 작품이나 실기를 통하여 자기를 직접 표현하는 것에 익숙하고, 문자를 통한 표현에는 익숙하지 않은 편이다. 이로 인해 쓰기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가 쉽지 않으며, 쓰기에 대한 관심과 흥미에 개인차가 크다. 그러나 이 학생들도 대학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자신이 속한 전공 분야의 전문담화 집단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내용과 형식을 갖춘 학술적인 텍스트를 쓸 수 있어야 전문가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예체능계열의 대학생과 전문가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계열별 특징을 밝히고, 쓰기 교수-학습 모형에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삼은 자료는 예체능계열 대학생 보고서 25편, 27,468어절, 예체능계열 전문 필자의 글 12편, 11,815어절 총 3,9283어절이다. 텍스트 분석을 위해서 미시구조, 거시구조, 최상위구 조의 세 층위에서 나타나는 여러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체능계열의 텍스트는 작품을 매개로 대중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작품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가 중심이 되는 설명텍스트, 작품에 대한 감상과 이해를 함께 전달하는 감상텍스트의 두 종류가 나타났다. 설명텍스트와 감상텍스트라는 텍스트 유형에 따른 차이와 집필 관점의 차이, 화제 구성의 차이를 학습하도록 쓰기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할 수 있다면, 예체능계열의 특징을 반영한 효과적인 쓰기 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연구 결과를 활용한다면 예체능 계열 보고서의 객관적인 평가 기준으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성과가 예체능계열 대학생의 쓰기 교육뿐만 아니라 다양한 계열의 특징을 밝히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학술적인 쓰기 능력 신장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designing writing instruction models that are needed by Arts and Physical Education majo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qu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cademic text, I analyzed students reports. There were 25 pieces with 27,468 words and 12 pieces of experts writing with 11,815 words. I built these written samples into a corpus. In the course of this study, four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order: Corpus building, analysis,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information construc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features with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I used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materials were micro-structure sentences, which were analyzed by vocabulary and sentence units and macro-structure of the statements and paragraph unit. Furthermore, a top-level structure was used to analyze the overall structure of an article. I built various information needed for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a multi-layer, three-dimensional analysis.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ext,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topic, which consists of the smallest units in each paragraph to form meaning. The topic of reports has a parallel structure and is not complicated. However, the experts’ writings demonstrate complex contents. This complexity is evident in the depth of topic, which is more profound due to the casual relationship or sequential progress with similar topics. By comparing the students writing and the experts writing, I developed the practical information that could be used for developing Arts and Physical Education majors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태영(Yang, TyeYoung). (2016).예체능계 대학생의 학술적인 글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위한 텍스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7), 541-562

MLA

양태영(Yang, TyeYoung). "예체능계 대학생의 학술적인 글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위한 텍스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7(2016): 541-5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