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마을공동체 개념 정립과 유형별 사례 분석을 통한 활성화 과제 탐색

이용수 1045

영문명
A Study on the Activation Task through Type Analysis and Concept Establishment of School Village Community
발행기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저자명
이상철(SangChul Lee) 강석봉(SeokBong Kang)
간행물 정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8권 4호, 407~41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마을공동체의 개념 정립과 유형별 사례 분석을 통해 활성화 과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마을공동체 개념 정립이다. 학교와 지역사회의 관계에 따라 마을학교, 마을결합형학교, 마을교육공동체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학교마을공동체는 기존의 학교공동체와 마을공동체가 결합된 개념으로 ‘학교가 중심이 되어 지역사회의 풍부한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지역사회 속에서 배움이 이루어지는 공동체’로 개념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교마을공동체의 유형별 사례 분석이다. 추진 주체나 방법에 따라 학교 주도형, 마을주도형, 센터(교육플랫폼) 주도형, 학교협동조합형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각 유유형별로 학교 주도형은 부산 금성초, 마을 주도형은 부산 대천마을학교, 센터(교육 플랫폼) 주도형은 경기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학교협동조합형은 서울 국사봉중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학교마을공동체 활성화 과제로 지역사회는 학교마을공동체 형성에 필요한 운영 기반 구축 필요, 지역사회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tasks through the case analysis and conceptualization of school village commun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chool village community. School village community is used as village school, village combined school, and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The school village community is a combination of existing school community and village community.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e concept as ‘a community where students are taught in the community by utilizing the abunda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community’. Second, it is a case analysis by type of school village community. It is developing into various types such as school led type, village led type, center (educational platform led type) and school cooperative type according to the propulsion subject and method. Finally, we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 operating base necessary for forming a school village community.

목차

1. 서론
2. 학교마을공동체 개념 정립
3. 학교마을공동체의 유형별 사례 분석
4. 학교마을공동체 활성화 과제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철(SangChul Lee),강석봉(SeokBong Kang). (2018).학교마을공동체 개념 정립과 유형별 사례 분석을 통한 활성화 과제 탐색.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 (4), 407-416

MLA

이상철(SangChul Lee),강석봉(SeokBong Kang). "학교마을공동체 개념 정립과 유형별 사례 분석을 통한 활성화 과제 탐색."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4(2018): 407-4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