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무 특성이 청년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

영문명
The impact of job characteristics on turnover intention of young civil serva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responsibility
발행기관
한국인사행정학회
저자명
김진주(Jinju Kim) 이수영(Soo-Young Lee)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3권 제1호,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무특성이론의 관점에서 청년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이론적 간극과 실제적 간극을 메우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공직생활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20-30대 일반직 청년 공무원을 대상으로 핵심직무 특성, 사회적 특성, 개인 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직무 특성과 개인 특성 간 상호작용항을 추가하여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핵심직무 특성 중 과업 정체성과 자율성은 이직 의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반면, 기술 다양성은 오히려 이직 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특성 중에는 부서 간 협업과 동료 간 협업이 이직의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개인 특성인 책임감은 기술 다양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청년 공무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고유한 결정요인이 존재하며, 청년 공무원 중에서도 20대 공무원과 30대 공무원 간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청년 공무원의 정부 조직 이탈을 막기 위해 직무 재설계를 도모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동시에 직무특성이론에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던 사회적 특성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직무 특성과 개인 특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ll the theoretical gap as well as the practical gap by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young public servants' turnover int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Job Characteristics Theory. To this end, using data from the 2021 Public Service Life Survey, we conducted an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re job characteristics, soci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urnover intention among young public servants in their 20s and 30s, and then added an interaction term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core job characteristics, task identity and autonomy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turnover intention, while skill variety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Among social characteristics, interdepartmental collaboration and coworker collaboration significantly reduced turnover intention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responsibility was found to moderate the effect of skill diversity on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unique determinant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among young public servants, and differences in th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between public servants in their 20s and those in their 30s were identified.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to prevent young civil servants from leaving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examining the influence of social characteristics and confirm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have been called for further research in job characteristics theor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주(Jinju Kim),이수영(Soo-Young Lee). (2024).직무 특성이 청년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3 (1), 1-31

MLA

김진주(Jinju Kim),이수영(Soo-Young Lee). "직무 특성이 청년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3.1(2024):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