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327

영문명
Meta-Synthesis of Education Commun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홍지오 이승호 허주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0호, 311~32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성과와 한계를 짚어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사례를 주제로 한 11편의 연구물을 분석하였다. 연구절차는 연구 문제 설정, 연구물 검색, 개별 연구물 분석, 연구물 간 관계 분석, 연구물 간 해석, 해석 결과의 종합, 종합 결과물 표현의 7단계를 거쳤다. 분석 기준은 학교 교육과정 연계, 민⋅관⋅학 교육거버넌스 구축, 주민자치 및 지역교육 확대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고, 각각의 측면에서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학교 교육과정 연계의 측면에서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와 지역사회 간 연계와 교육과정의 다양성이라는 성과를 보였지만, 교육 주체는 마을교육공동체라는 새로운 형태와 기존의 학교교육 구조 사이에서 딜레마를 경험하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민⋅관⋅학 교육거버넌스 구축에서 마을교육공동체는 제도적 토대를 마련했지만, 조직 간 다른 체제 및 환경에서의 협업 관계와 관 주도의 운영으로 인하여 구조적⋅실천적인 한계가 나타났다. 셋째, 주민자치 및 지역교육의 확대는 교육활동의 중심이 학교에서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교육적 발전에 기여하였지만, 지속가능성 측면에서는 인적⋅제도적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가 향후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와 지역사회 간 연계를 통한 교육과정이 보다 수월하게 운영될 수 있는 실제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마을교육공동체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교육거버넌스의 조정이 필요하다. 셋째,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학교와 지역사회 교육의 통합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Educational Community operation and explore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school-community partnership. Methods The study applied qualitative meta-synthesis in analyzing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through 11 qualitative studies. Specific framework for the analysis were curriculum linkage between school and local community, public-private-school partnership, and autonomy of local community and expansion of education to community. Results The results of the meta-synthesis showed that first, Educational Community had achievements in linking the school and community and providing various curriculum to the students. However,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had to face a dilemma between the old school based education and the new form of Educational Community, which created limitations. Second, a system of public-private-school partnership was found as a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operation. At the same time, with different structure and culture of different organizations, practical partnership was not in place. Finally, Educational Community contributed to community members’ participation in education, which is a great achievement compared to a closed school-based education. However, sustainability of community members’ participation was a question remained to be resolved. Conclusions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first, Educational Community require practical support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at are created through school and community. Second,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coordinating roles of public-private-school partnership for effective opera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Lastly, Educational Community needs to adopt an integrated approach of school and community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its’ accomplishment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지오,이승호,허주. (2023).마을교육공동체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0), 311-326

MLA

홍지오,이승호,허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0(2023): 311-3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