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직업계고 미용과 코스형 교육과정 운영사례 및 만족도 조사
이용수 404
- 영문명
- A Survey on the Operation Case and the Course-Type Satisfactory of Curriculum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Beauty Department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상원 안정민 권기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호, 585~59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직업계고 고교학점제 모형에서 학과 내 경로형 모형 중 코스형 교육과정을 적용한 직업계고 미용과 운영사례, 학생 및 교사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2022년 10월부터 11월까지 서울특별시 소재 직업계고 미용과 코스형 교육과정을 경험한 고등학생 3학년 총 160명을 대상으로 세부전공 선택요인, 교육과정 및 교육환경 만족도, 선호 직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코스형 교육과정을 운영한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코스형 교육과정 운영의 수월성 및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증, 교차분석, 일표본 K-S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코스형 세부전공 선택요인을 각 전공에 따라 살펴보면 개인적 요인에서 헤어미용, 메이크업, 피부미용 순으로 나타나며 헤어미용 전공 학생들이 세부전공 선택 시 소신껏 선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사회적 요인은 전공에 상관없이 낮게 나타났다. 교육과정 및 교육환경 만족도에 대한 결과는 전공별로 헤어미용, 메이크업, 피부미용 순으로 교육과정 만족도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육환경 만족도에서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직업계고 미용과 선호직종은 산업체 근무희망의 경우 헤어미용 집단이 피부미용, 메이크업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진로희망 집단별 결과로는 취업을 희망하는 집단은 산업체 근무 희망에서 진학을 희망하는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은 회사, 교육기관 근무 희망이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코스형 교육과정 운영 시 수월성 및 만족도는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재정적 지원에 대한 항목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전 코스형 교육과정의 원활한 운영 및 만족도를 위해서 체계적인 교육과정 운영계획 수립 및 편성을 실시해야 한다. 지속적인 상담, 학업설계를 통해 학생들이 세부전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학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교육환경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의 진로와 관련 있는 과목개설,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구성, 교육환경 구성, 재정적 지원이 원활하게 이뤄져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시 코스형 교육과정이 활성화되고 내실화되길 기대하며 지역별, 단위학교별로 코스형 교육과정 운영이 다채로운 상황에서 이를 비교한 연구와 코스형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운영방안 등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cases of the course-type curriculum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s beauty department, which is a course-type model with in the department precisely selec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models, follow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satisfaction surveys.
Methods From October to November 2022,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y a total of 160 third-year student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beauty department in Seoul regarding selection of the course-type specific majors, their satisfaction level towards its curriculum and environment, and their preferred occupations. It was further undertaken by 20 teachers who performed the course-type curriculum. The survey results were then used to perform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t-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One Sample Kolmogorov-Smirnov test.
Results The dominant factor upon course-type major selection was personal reason, followed by hair, makeup and skincare reasons, and the hair department students tend to select their majors most precisely.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ppeared not to differ by each department, whereas respondents revealed varied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ourse-type curriculum in an order descending of Hair, Makeup and Skincare group. The hair group showed higher interest than others on desire to work in the industry. Teachers’ satisfaction were overall high except for the financial support on curriculum operation.
Conclusions Prior to the complet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development and coordination of a structured education curriculum have to take place through surveys. We hope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be applied and assist in implementing and sustaining the course-type curriculum upon full implementation of the credit system. This study suggests follow-up research on comparative cases by different regions and different high school units for further investigating its limitations and management pla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에서 고교학점제를 경험한 교사의 인식 연구
- ‘관계융합 퍼실리테이팅’의 의미 탐색을 위한 해석학적 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직업계고 미용과 코스형 교육과정 운영사례 및 만족도 조사
-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머신러닝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업가치의 차이 분석 및 직무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 경영·회계·사무 업무의 디지털화에 따른 미래공통역량과 직무교육과정 개발연구
-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에 의한 유아교사의 메이커교육 관심도와 실행수준 분석
-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learning: A study on learners’ satisfaction and experiences in online general English course
- 대학 CTL의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 적용 수업 개발 프로그램 참여 교수의 경험 분석
- 인공지능(AI) 역량 함양을 위한 고등학교 수학 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Examining cultural capital through international early childhood teachers' survival strategies in the United States: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 한부모가정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연구동향 비교 분석
- 노동인권 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유형화 연구
- 위드코로나 시대 대학교육에 요구되는 핵심역량 탐색
- 예술 중심 프로젝트 기반 학습(A-PBL)으로서 그림책 창작의 가능성 탐구
- 중학생의 학업열의 영향 변인 탐색
- IPA를 활용한 대학생 진로적응성 프로그램의 교육요구도 분석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사회적 관계망, 대인관계역량 및 문제해결역량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의 블랜디드 러닝 기반 대학 교수법 연구
- 체육교사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인식 분석
-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유아교육기관 메이커스페이스 실행 경험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시대를 살아온 대학 재학생의 성찰 경험
-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의식 학습과 전환학습
- 성인애착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 양성을 위한 실습 교육과정 방향 탐색
- [삭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사회적 관계망, 대인관계역량 및 문제해결역량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청소년의 우울감 변화에 따른 건강행태와 정신건강
- 국내외 관계적 공격성 관련 변인 메타분석
- 종합병원 방사선사의 표준주의 수행도 영향요인
- [삭제] 예비 정보교사 대상 스토리텔링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공감능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디지털 글쓰기 인식 조사 분석
- 문맥 및 형태 추론 중재에 따른 초등 2~3학년 아동의 파생어 습득 효과
- 예비 정보교사 대상 스토리텔링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초기 성인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교사의 체육검정교과서 선정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부모가구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음주 영향요인
- 의사 소통 향상을 위한 부부 미술 치료 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이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에 미치는 영향
- 예비부부의 사례 개념화 기반 단회 상담 참여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삭제] 예비 정보교사 대상 스토리텔링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의과대학생이 인식하는 표절 관련 행위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향상이 직장과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지역 오케스트라의 음악활동으로 본 예술적 시민성
- 중학생들의 학교 공간별 색채 선호도 분석
- 플립러닝을 활용한 놀이지도 수업에서 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의 변화과정
- 대학생이 지각한 부와 모의 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호 목차
- 대학생의 비대면 교육 경험에 대한 수업 에세이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