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디지털 글쓰기 인식 조사 분석

이용수 532

영문명
A study analyzing the digital writing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지연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호, 11~2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1.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최근 디지털 시대 변화에 따른 대학생의 디지털 글쓰기 인식을 성별, 전공 계열별로 분석해보고 디지털 쓰기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디지털 쓰기 교육의 계획 및 실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 소재 대학교 재학생 1학년 379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글쓰기 인식 설문조사(9개 하위 구성요소, 20문항)를 실시하였으며 SPSS 25.0 버전을 이용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성별과 계열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각각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디지털 쓰기수행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에서는 디지털 쓰기가치와 쓰기불안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다. 둘째, 디지털 글쓰기 인식에 대한 성별 차이는 디지털 쓰기불안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평균 점수가 높았다. 셋째, 디지털 글쓰기 인식에 대한 계열 차이를 문항별로 분석한 결과 디지털 쓰기수행과 디지털 쓰기인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자연·공학계열보다 인문·사회계열의 평균 점수가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쓰기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디지털 쓰기효능감, 독자고려, 디지털 쓰기가치, 디지털 쓰기윤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디지털 기기와 기술의 영향으로 문식환경이 변함에 따라 전통적 글쓰기와 차이가 발생함을 고려하여 디지털 글쓰기의 특성, 인식 등의 분석을 통해 디지털 글쓰기 교육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쓰기윤리 교육의 필요성, 이공계열 대학생의 쓰기 수행 및 쓰기인식 강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디지털 쓰기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디지털 쓰기효능감으로 그간의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by gender and major, and also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differences on digital writing performance. Methods A digital writing recognition survey (9 sub-components, 20 questions) was conducted for 379 first-year students at a university in Busa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simple linear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version was performed. Results First, in descriptive statistics, the average score of digital writing value and writing anxiety was the highest. Second, as for the gender difference in digital writing recognition, only digital writing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average score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male students. Third,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series of digital writing recognition by item, digital writing performance and digital writing recogni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nd the average scor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as higher than that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digital writing performance,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digital writing efficacy, reader consideration, digital writing value, and digital writing ethics.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was emphasized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from traditional writing as the literacy environment changes due to the influence of digital devices and technology. The implications of digital writing education were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digital writ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digital writing ethics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s necessary and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writing performance and writing awareness among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he biggest influence on digital writing performance was digital writing efficacy,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연. (2023).대학생의 디지털 글쓰기 인식 조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 11-26

MLA

최지연. "대학생의 디지털 글쓰기 인식 조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2023): 1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