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에 의한 유아교사의 메이커교육 관심도와 실행수준 분석

이용수 175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tage of Concerns and Level of Use in Maker Education by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CBA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신애 정남미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호, 39~5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1.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토대로 유아교사의 메이커교육에 대한 실행수준을 분석 및 관심도와 실행수준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유아교육현장의 메이커교육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 공·사립 60개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메이커교육의 실행수준 400부의 설문지 배부하여 373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2부를 제외한 총 371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6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이커교육 연구도구는 관심기반수용모형(CBCM)을 토대로 Hall, George, & Rutherford(1977)가 개발한 관심도(SoC) 설문지 35문항, Lee-Kang(1993)이 수정·보완한 실행수준(LoU) 설문지 1문항 총 36문항을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메이커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전반적인 실행수준은 대부분 실행하지 않는 단계(비사용자)에 머물러 있었으며, 실행하지 않는 단계 내에서도 1수준 탐색단계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0수준 비사용단계가 많아 유아교사 대부분의 실행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유아교사의 실행수준 차이는 학력을 제외한 연령, 직급, 최종학력, 기관유형, 교직경력, 담당학급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메이커교육 관련 경험에 따른 유아교사의 실행수준은 메이커교육 관련 과목 이수 여부와 연수경험 여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메이커교육 관심도와 실행수준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입 초기의 유아 메이커교육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실행수준과 관심도가 향상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낮은 실행수준에 있는 교사들을 위해 메이커교육의 개념 및 효과와 누리과정과의 연결점을 제시하는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use of maker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CBAM),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 of concern and the level of use,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d revitalizing mak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Methods To this end, 373 copies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400 questionnaires of the implementation level of maker education to 60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a total of 371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two unfaithful responses. A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ost-verification,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 The maker education research tool used a total of 36 questions in the SoC questionnaire developed by Hall, George, & Rutherford (1977) and the LoU questionnair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Lee-Kang (1993) based on the interest-based acceptance model (CBC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overall level of u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maker education remained at the stage of not implementing (Nonuser), and Even within the stage of not executing, the first level search stage was the most common. Next, there were many zero-level non-use stages, so most of the implementation levels of infant teachers were low.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use of infant teachers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osition, final education, institutional type, teaching experience, and age in charge.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u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related to maker education.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ker education the stage of concern and the level of u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maker education to be successfully established in the early stages of introduction, the level of use and the stage of concer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st be improved. Therefore, teacher education is needed to present the concept and effect of maker education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teachers at a low level of execu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신애,정남미. (2023).관심기반수용모형(CBAM)에 의한 유아교사의 메이커교육 관심도와 실행수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 39-55

MLA

조신애,정남미.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에 의한 유아교사의 메이커교육 관심도와 실행수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2023): 39-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