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에 의한 유아교사의 메이커교육 관심도와 실행수준 분석
이용수 167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tage of Concerns and Level of Use in Maker Education by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CBA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신애 정남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호, 39~5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토대로 유아교사의 메이커교육에 대한 실행수준을 분석 및 관심도와 실행수준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유아교육현장의 메이커교육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 공·사립 60개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메이커교육의 실행수준 400부의 설문지 배부하여 373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2부를 제외한 총 371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6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이커교육 연구도구는 관심기반수용모형(CBCM)을 토대로 Hall, George, & Rutherford(1977)가 개발한 관심도(SoC) 설문지 35문항, Lee-Kang(1993)이 수정·보완한 실행수준(LoU) 설문지 1문항 총 36문항을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메이커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전반적인 실행수준은 대부분 실행하지 않는 단계(비사용자)에 머물러 있었으며, 실행하지 않는 단계 내에서도 1수준 탐색단계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0수준 비사용단계가 많아 유아교사 대부분의 실행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유아교사의 실행수준 차이는 학력을 제외한 연령, 직급, 최종학력, 기관유형, 교직경력, 담당학급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메이커교육 관련 경험에 따른 유아교사의 실행수준은 메이커교육 관련 과목 이수 여부와 연수경험 여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메이커교육 관심도와 실행수준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입 초기의 유아 메이커교육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실행수준과 관심도가 향상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낮은 실행수준에 있는 교사들을 위해 메이커교육의 개념 및 효과와 누리과정과의 연결점을 제시하는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use of maker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CBAM),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 of concern and the level of use,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d revitalizing mak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Methods To this end, 373 copies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400 questionnaires of the implementation level of maker education to 60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a total of 371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two unfaithful responses. A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ost-verification,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 The maker education research tool used a total of 36 questions in the SoC questionnaire developed by Hall, George, & Rutherford (1977) and the LoU questionnair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Lee-Kang (1993) based on the interest-based acceptance model (CBC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overall level of u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maker education remained at the stage of not implementing (Nonuser), and Even within the stage of not executing, the first level search stage was the most common. Next, there were many zero-level non-use stages, so most of the implementation levels of infant teachers were low.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use of infant teachers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osition, final education, institutional type, teaching experience, and age in charge.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u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related to maker education.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ker education the stage of concern and the level of u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maker education to be successfully established in the early stages of introduction, the level of use and the stage of concer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st be improved. Therefore, teacher education is needed to present the concept and effect of maker education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teachers at a low level of execu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에서 고교학점제를 경험한 교사의 인식 연구
- ‘관계융합 퍼실리테이팅’의 의미 탐색을 위한 해석학적 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직업계고 미용과 코스형 교육과정 운영사례 및 만족도 조사
-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머신러닝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업가치의 차이 분석 및 직무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 경영·회계·사무 업무의 디지털화에 따른 미래공통역량과 직무교육과정 개발연구
-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에 의한 유아교사의 메이커교육 관심도와 실행수준 분석
-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learning: A study on learners’ satisfaction and experiences in online general English course
- 대학 CTL의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 적용 수업 개발 프로그램 참여 교수의 경험 분석
- 인공지능(AI) 역량 함양을 위한 고등학교 수학 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Examining cultural capital through international early childhood teachers' survival strategies in the United States: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 한부모가정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연구동향 비교 분석
- 노동인권 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유형화 연구
- 위드코로나 시대 대학교육에 요구되는 핵심역량 탐색
- 예술 중심 프로젝트 기반 학습(A-PBL)으로서 그림책 창작의 가능성 탐구
- 중학생의 학업열의 영향 변인 탐색
- IPA를 활용한 대학생 진로적응성 프로그램의 교육요구도 분석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사회적 관계망, 대인관계역량 및 문제해결역량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의 블랜디드 러닝 기반 대학 교수법 연구
- 체육교사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인식 분석
-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유아교육기관 메이커스페이스 실행 경험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시대를 살아온 대학 재학생의 성찰 경험
-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의식 학습과 전환학습
- 성인애착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 양성을 위한 실습 교육과정 방향 탐색
- [삭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사회적 관계망, 대인관계역량 및 문제해결역량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청소년의 우울감 변화에 따른 건강행태와 정신건강
- 국내외 관계적 공격성 관련 변인 메타분석
- 종합병원 방사선사의 표준주의 수행도 영향요인
- [삭제] 예비 정보교사 대상 스토리텔링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공감능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디지털 글쓰기 인식 조사 분석
- 문맥 및 형태 추론 중재에 따른 초등 2~3학년 아동의 파생어 습득 효과
- 예비 정보교사 대상 스토리텔링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초기 성인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교사의 체육검정교과서 선정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부모가구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음주 영향요인
- 의사 소통 향상을 위한 부부 미술 치료 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이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에 미치는 영향
- 예비부부의 사례 개념화 기반 단회 상담 참여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삭제] 예비 정보교사 대상 스토리텔링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의과대학생이 인식하는 표절 관련 행위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향상이 직장과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지역 오케스트라의 음악활동으로 본 예술적 시민성
- 중학생들의 학교 공간별 색채 선호도 분석
- 플립러닝을 활용한 놀이지도 수업에서 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의 변화과정
- 대학생이 지각한 부와 모의 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호 목차
- 대학생의 비대면 교육 경험에 대한 수업 에세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지원역량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 AI 교육 및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경험
- 유아들이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공간의 의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