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 성인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이용수 425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adult’s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곽인희 조용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호, 325~3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고 각 변인들이 어떤 경로를 거쳐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533명(남 233명, 여 3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SPSS 25와 MPLUS 8.6(Muthén & Muthén, 1998-2014)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대상경험, 건강한 자기애, 공감지각, 자기위로능력 변인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셋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의 단일매개효과는 없었으나 자기대상경험이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건강한 자기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Kohut의 자기심리학 관점에서 볼 때,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 및 자기위로능력이 과정 변인으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기 위해 교육현장, 직장, 상담 등 다양한 장면에서 자기 및 자기대상에게 개입해야 할 방향과 교육자료 및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adults’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that was explored, and which paths each variable formed healthy narcissism through.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aged 19 to 39 across the country, and data of a total from 533 people (233 men and 300 women)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 and MPLUS 8.6 (Muthén & Mutén, 1998-2014)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mpathy, healthy narcissism,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were all significan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 narcissism. Four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found insignificant, however,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self-object experience through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on healthy narcissism was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play the role of procedural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refore, in order to form healthy narcissism, the direction to intervene in various scenes such as education site, workplace, and counseling, and the need to provide educational materials and programs were confirm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에서 고교학점제를 경험한 교사의 인식 연구
- ‘관계융합 퍼실리테이팅’의 의미 탐색을 위한 해석학적 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직업계고 미용과 코스형 교육과정 운영사례 및 만족도 조사
-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머신러닝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업가치의 차이 분석 및 직무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 경영·회계·사무 업무의 디지털화에 따른 미래공통역량과 직무교육과정 개발연구
-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에 의한 유아교사의 메이커교육 관심도와 실행수준 분석
-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learning: A study on learners’ satisfaction and experiences in online general English course
- 대학 CTL의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 적용 수업 개발 프로그램 참여 교수의 경험 분석
- 인공지능(AI) 역량 함양을 위한 고등학교 수학 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Examining cultural capital through international early childhood teachers' survival strategies in the United States: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 한부모가정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연구동향 비교 분석
- 노동인권 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유형화 연구
- 위드코로나 시대 대학교육에 요구되는 핵심역량 탐색
- 예술 중심 프로젝트 기반 학습(A-PBL)으로서 그림책 창작의 가능성 탐구
- 중학생의 학업열의 영향 변인 탐색
- IPA를 활용한 대학생 진로적응성 프로그램의 교육요구도 분석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사회적 관계망, 대인관계역량 및 문제해결역량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의 블랜디드 러닝 기반 대학 교수법 연구
- 체육교사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인식 분석
-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유아교육기관 메이커스페이스 실행 경험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시대를 살아온 대학 재학생의 성찰 경험
-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의식 학습과 전환학습
- 성인애착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 양성을 위한 실습 교육과정 방향 탐색
- [삭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사회적 관계망, 대인관계역량 및 문제해결역량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청소년의 우울감 변화에 따른 건강행태와 정신건강
- 국내외 관계적 공격성 관련 변인 메타분석
- 종합병원 방사선사의 표준주의 수행도 영향요인
- [삭제] 예비 정보교사 대상 스토리텔링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공감능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디지털 글쓰기 인식 조사 분석
- 문맥 및 형태 추론 중재에 따른 초등 2~3학년 아동의 파생어 습득 효과
- 예비 정보교사 대상 스토리텔링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초기 성인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교사의 체육검정교과서 선정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부모가구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음주 영향요인
- 의사 소통 향상을 위한 부부 미술 치료 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이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에 미치는 영향
- 예비부부의 사례 개념화 기반 단회 상담 참여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삭제] 예비 정보교사 대상 스토리텔링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의과대학생이 인식하는 표절 관련 행위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향상이 직장과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지역 오케스트라의 음악활동으로 본 예술적 시민성
- 중학생들의 학교 공간별 색채 선호도 분석
- 플립러닝을 활용한 놀이지도 수업에서 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의 변화과정
- 대학생이 지각한 부와 모의 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호 목차
- 대학생의 비대면 교육 경험에 대한 수업 에세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지역사회 연계 협력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성인학습자의 대학학위과정 참여동기 및 교육만족이 대학생활 후 삶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실존적 인본주의 관점에서 본 평생교육의 의미 및 개념 정의에 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