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의식 학습과 전환학습

이용수 541

영문명
Anti-feminism Consciousness Learning by 20’s male and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현민 김한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호, 651~66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1.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의식을 전환학습의 결과로 볼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반페미니즘 의식 형성의 사회적 조건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반페미니즘 의식의 형성과 공유라는 사회 현상을 전환학습의 틀로 설명할 수 있는 근거를 고찰하고, 교육학, 사회학 분야의 기존 연구물 및 언론 보도 등을 수집, 검토함으로써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의식 형성에 기여한 집단적 전환학습의 사회적 조건을 개념적으로 식별해보았다. 결과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의식 학습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전환학습의 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반페미니즘 의식의 형성은 학습자의 성찰과 그로 인한 정체성의 변화라는 차원에서 전환학습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한 반페미니즘 의식의 확산은 담화를 통한 집단적 전환학습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셋째, 반페미니즘 운동의 사례는 전환을 공유하는 개인들이 연대함으로써 사회적 행위로 표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의식 형성의 배경이 된 사회적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386세대로 대변되는 기성세대가 취업 시장의 상층부를 장악한 후 취업 경쟁이 극심해졌다. 둘째, ‘젠더와 권력이 만난’ 결과로 인식되는 여성 우대 정책들이 실시되었다. 셋째, 잠재적 가해자로서의 남성성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의식 학습이라는 사회적 현상을 전환학습이론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학습자를 주로 개인으로 한정하는 기존의 학습이론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세대라는 집단을 학습자로 봄으로써 학습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 것이다. 또한 개개인의 경험이 담화를 통해 공유됨으로써 집단적인 관점의 전환을 낳고, 궁극적으로 집단적 전환이 사회적 실천으로 전개되어 가는 과정을 탐색하는 개념적 토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grounds that the anti-feminism consciousness of men in their 20s can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transformational learning and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formation of anti-feminism consciousness. Methods To this end, we conceptually confirmed the social conditions of collective transformative learning by explaining the social phenomenon in which anti-feminism is formed and shared among men in their 20s as a framework for transformative learning and reviewing research and media reports in educational research and sociology. Results Anti-feminism consciousness learning of men in their 20s can be explained by the framework of transformative learning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formation of anti-feminism consciousness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transformative learning in terms of learner reflection and the resulting change in identity. Second, the spread of anti-feminism consciousness through online communities can be seen as a result of collective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discourse. Third, the case of the anti-feminism movement can be seen as expressed as social practice by solidarity of individuals who share the transition. In addition, the social conditions behind the formation of anti-feminism consciousness of men in their 20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older generation, represented by the 386 generation, dominated the upper part of the job market, job competition intensified. Second, preferential policies for women were implemented, which were recognized as the result of ‘the meeting of gender and power’. Third, there was a trend of the times that forced the acceptance of masculinity as a potential perpetrator. Conclusions Thi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social phenomena such as anti-feminism consciousness learning of men in their 20s as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his is to expand the scope of existing learning theory research, which mainly limited learners to individuals, and to expand the horizon of learning research by targeting a group called generation.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brings about a change in collective perspective by sharing individual experiences through discourse, and ultimately provides a conceptual basis for explor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collective transformation into social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반페미니즘 의식의 형성과 공유: 전환학습이론의 해석
Ⅲ. 반페미니즘 의식 학습의 사회적 조건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민,김한별. (2023).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의식 학습과 전환학습.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 651-667

MLA

김현민,김한별.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의식 학습과 전환학습."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2023): 651-6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