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643

영문명
A Study on Teaching Scheme of Korean Auxiliary Particles ‘kkaji, jocha, majeo’ for Chinese Learn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학비(Zhao Xuefei) 박덕유(Park deoky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89~10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 보조사 중에 유사문법 형태인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통사적 특성을 고찰하고 오류 양상을 분석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방법 한국어 보조사 ‘까지, 마저, 조차’는 여러 가지 의미와 용법이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의미적⋅통사적 특성을 고찰한 다음에 한국과 중국에서 간행된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내용을 대비하고 분석하여 장단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까지, 조차, 마저’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오류 원인을 밝힘으로써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고찰하였다. 결과 ‘까지, 조차, 마저’는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 유사한 환경에서 서로 교체해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각각의 통사적 사용에서 미세한 차이가 있다. ‘까지’는 어떤 일이나 상태 따위에 관련되는 범위의 끝임을 나타내는 것이고, ‘조차’는 그 상황 이상의 것이 더해지는 의미를 수반한다. 그리고 ‘마저’는 어떠한 것에 더해서 그보다 더 나쁘거나 다른 것을 덧붙인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중 ‘까지’는 ‘마저’보다는 더 자유롭게 사용돼 의문대명사와 공기할 수 있지만, ‘조차’는 명령문과 청유문에서 사용할 수 없다. 결론 ‘까지, 조차, 마저’의 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교재에서 설명이 충분하지 않은 부분과 오류를 많이 범하는 원인을 고찰하여 이에 대한 교수⋅학습 방안을 세 보조사의 비교 분석을 통해 기술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semant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kkaji, jocha, majeo’, a form of similar grammar among Korean language assistants, and to present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for Chinese learners by analyzing error patterns. Methods The Korean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kkaji, jocha, majeo’ have many meanings and uses, so this ointment considered the semant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m and pre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In addition, efficient education methods were considered by analyzing the error patterns of ‘kkaji, jocha, majeo’ for Chinese learners and identifying the cause of the error based on the results. Results ‘kkaji, jocha, majeo’ has a similar meaning and can be used in a similar environment by replacing each other, but there is a fine difference in each syntactic use. “kkaji” indicates the end of a range related to a task or condition, and “jocha” entails more than that situation. And ‘majeo’ means adding something worse or something else. Among them, “kkaji” is more freely used than “majeo” so it can be used with questionable pronouns and air, but “jocha” cannot be used in command and request sentence. Conclusions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kaji, jocha, majeo’,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describ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ree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es by considering the insufficient explanation in the textbook and the causes of many errors.

목차

Ⅰ. 서론
Ⅱ. 보조사 ‘까지, 마저, 조차’의 의미⋅통사적 특성
Ⅲ.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사용 양상 오류 분석
Ⅳ. 보조사 ‘까지, 마저, 조차’의 교수⋅학습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학비(Zhao Xuefei),박덕유(Park deokyu). (2021).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교육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3), 89-108

MLA

조학비(Zhao Xuefei),박덕유(Park deokyu).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교육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3(2021): 89-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