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자 배움중심교육을 위한 학습권 실현 조건 탐색

이용수 464

영문명
Search for the conditions of realization of the right for learning for the learner learning-centered educ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Momgsil School in Uijeongbu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홍제남(Hong, Je Nam) 김혜원(Kim, Hye W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223~25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15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가 자신들에게 필요한 학습을 실현할 수 있는 학습권 실현조건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제시하여, 이후 학습자의 학습권이 실현이 가능한 교육혁신의 실천방안 모색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학습권 실현을 위한 7가지 요소로 학습주체, 학습목적, 교육과정(학습내용), 학습방법 및 평가, 학습시기, 학습장소, 학습제도를 도출하고, 사전연구를 통해 경기도 의정부의 청소년자치배움터인 몽실학교를 목적표집하였다. 본 연구는 목적표집한 몽실학교에 대한 사례연구로 1년 반에 걸쳐 참여관찰, 문화기술지적 접근,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청소년, 청년, 성인활동가 등 총 39명), 기초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를 연구대상과 관련된 각종 문서와 함께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혁신학교가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밖에 청소년자치배움터가 별도로 만들어진 이유는, 현재의 학교교육제도에서는 학습권을 실현하기 어렵기 때문이었다. 몽실학교는 처음부터 학습자가 주체가 되는 학습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지향하며 추진하였고 운영과정에도 청소년들이 실질적인 주체로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들은 학교와 달리 자신에게 필요한 교육과정을 스스로 구성하여 주체적으로 학습하며 학습권을 실현하고 있었다. 청소년들은 ‘진짜 학습’을 할 수 있는 ‘진짜 학교’를 원하고 있었으며, 몽실학교가 ‘진짜 학교’ 같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청소년들은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긍정적인 정의적인 영역(책임감, 자신감, 배려와 협력, 공동체 의식, 도전 의식 등) 또한 길러지고 있다고 하였다. 결론 청소년들은 청소년 자치배움터인 몽실학교에서 자신의 학습과정에 주체로 서서 의미있는 학습을 실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학습권이 실현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이 상당 부분 실제로 보장되고 있기 때문이었다. 학교 밖에 있는 청소년 자치배움터의 이러한 성과는 이후 교육혁신의 방향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ditions for learners to realize the education needed to themselves and provide implications compatible with the direction of education renovation through that. Methods By reviewing preceding researches, this study draws 7 components as learning subject, learning purpose, curriculum(content of learning), learning method & assessment, learning time, learning place and learning institution for realizing the right for learning and conducts purposive sampling on Mongsil School the adolescent self-governing learning place located in Uijeongbu, Gyeonggi-do through study in advance. For about 1 and a half years, participatory observation, ethnographic approach, semi-structured depth interview(39 people including adolescents, young adults and adult activists etc.) and surveys for basic research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and the data collected thereby were analyzed with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the subject of study. Results First the reason adolescent self-governing learning place was established outside the school despite the renovative school being operated is because it is hard to realize the right for learning in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Mongsil School has set the learning where the learners are subject as the prime value and carried it out therefore the adolescents participating the operation process as effective subjects. Second, the adolescents realized the right for learning by organizing curriculum necessary for their own and learning with subjectivity unlike schools. They wanted an ‘authentic school’ for ‘authentic learning’ and perceived Mongsil school as the ‘authentic school’. Third, the adolescents said that various positive affective sectors(responsibility, self-confidence, care & cooperation, community spirit and sense of challenge etc.) were being raised through the process. Conclusions It can be decided that the adolescents realize the meaningful learning as subjects of their learning process at Mongsil School the adolescent self-governing place. It is because the considerable conditions for realizing the right for learning are actually guaranteed. This performance of the adolescent self-governing place outside the schools implys a lot to the direction of education renovation aft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몽실학교 경험에 대한 인식과 의미
Ⅴ. 논의: 패러다임의 전환, ‘교수’를 너머 ‘주체’의 학습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제남(Hong, Je Nam),김혜원(Kim, Hye Won). (2021).학습자 배움중심교육을 위한 학습권 실현 조건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3), 223-251

MLA

홍제남(Hong, Je Nam),김혜원(Kim, Hye Won). "학습자 배움중심교육을 위한 학습권 실현 조건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3(2021): 223-2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