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이용수 289

영문명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Digital Writ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영미(Choi Yeongm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461~47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디지털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쓰기 불안, 쓰기 동기에 따른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차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컴퓨터 기반의 작문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 고등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쓰기 불안 검사, 쓰기 동기 검사 및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 조사는 Likert 척도 9개 문항과 개방형 문항 1개로 구성되었으며, 쓰기 변인 별로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설문 응답에서 명사와 동사를 추출하여 빈도와 단어 쌍 관계를 통해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알아보았다. 또한 성별 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는 여학생은 대체로 디지털 글쓰기와 손글씨 쓰기가 다르다고 인식하며 쓰기 동기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남학생은 쓰기 수행과 쓰기 불안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쓰기 불안 변인에 따른 인식은 쓰기 불안이 높은 상 집단은 쓰기 불안과 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중 집단은 쓰기 수행에 대한 인식이, 하 집단은 쓰기 동기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쓰기 동기 변인에 따른 인식은 쓰기 동기가 높은 상 집단은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쓰기 수행 및 쓰기 불안, 쓰기 동기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중 집단은 쓰기 수행에 대한 인식이, 하 집단은 쓰기 불안과 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결론 디지털 글쓰기에 대해 고등학생들은 편리성과 효율성, 정보화, 개인 정보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성별 변인의 경우 인식 차이는 있었지만 쓰기 동기에 대한 인식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쓰기 불안 변인의 경우 쓰기 불안 집단에 따라 인식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쓰기 동기 변인의 경우 쓰기 동기 집단에 따라 인식 차이는 있었으나, 쓰기 수행과 쓰기 불안의 일부 문항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쓰기, 쓰기 능력, 쓰기 동기, 쓰기 불안에 관한 선행 연구와 유사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according to gender, writing anxiety, and writing motiv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recent changes in digital environment,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computer-based writing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140 high school students in Changwon, Gyeongsangnam-do were surveyed to measure their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The survey consisted of 9 questions on the Likert scale and 1 open-ended question, and analyzed the specific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by writing variables. Results The general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was examined through the frequency and word pairing by extracting nouns and verbs from the questionnaire response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variables was that female students generally perceived digital writing and handwriting writing differently, and the perception of writing motivation was high, and male students perceived writing performance and writing apprehension, The middle group was higher in the perception of writing performance and the lower group was higher in the perception of writing motivation. The high-motivation group showed high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writing performance and writing apprehension, and writing motivation, and the middle group had high perception of writing performance, and the lower group had high perception of writing apprehension and writing ethics. Conclusions For digital writing,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convenience, efficiency,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keyword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in gender variables, but only the perception of writing motiv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writing apprehension variables,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writing apprehension group, but not all of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writing motivation variable, but only some items of writing performance and writing apprehen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was similar to previous studies on writing, writing ability, writing motivation, and writing apprehens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방법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미(Choi Yeongmi). (2021).고등학생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3), 461-476

MLA

최영미(Choi Yeongmi). "고등학생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3(2021): 461-4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