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극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496

영문명
Analysis on Trend of Research on Young Children Dramatic Play: Focusing on Korean Journals Published from 1991 to June 2021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송영인(Song, Young-In) 송윤나(Song, Yun-N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493~50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유아 극놀이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유아 극놀이 연구들의 제한점을 살펴보고 향후 유아 극놀이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및 보완되어야 하는 개선점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방법 ‘극놀이’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이현순(1991)의 연구 기점으로 2021년 6월 까지 발표된 유아 극놀이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자료 250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주제에 따른 교과연계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교차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교육분야의 극놀이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 극놀이 연도별 연구 동향은 2006년에서 2010년까지 연구가 급증하기 시작하여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증가추세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유아 대상 연구가 대부분인 인적대상 연구가 물적대상 연구보다 많이 진행되고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효과성 검증인 실험연구에 기초한 양적연구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연구주제별 동향은 실천연구가 기초연구 보다 현저하게 많이 연구 되었으며 특히, 실천연구에 해당하는 연구물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교수방법의 효과성 검증이었다. 다섯째, 연구주제의 교과연계별 동향은 교과연계에 해당하는 연구물이 교과연계에 해당하지 않은 연구물보다 조금 많이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큰 차이가 없었으며 교과연계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언어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 극놀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앞으로 유아 극놀이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 s drama play, which are ongoing so far,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children s drama play research,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nfant drama play research in the future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Methods It searched for periods, themes, methods and the subjects of 250 Korean scholarly journals on young children dramatic play, which have been published until June, 2021, since Lee Hyeonsun (1991) first used the term of ‘dramatic play’, and estimated and analyzed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by subject-connection Results First, the research on young children dramatic play had been drastically increased from 2006 to 2010,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and tends to be recently increased,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years. Second, it primarily examines human subjects, rather than material objects,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the subjects.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most frequently published,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and then, literatur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research methods.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experimental study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was most often used. Fourth, the action research theme was prominently often used, compared to the basic research theme,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research themes, especially, the test on research methods effectivenes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studies with the action research theme.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subject-connected theses and that of others, though the former is slightly higher than the latter,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subject- connection, and language accounted for the most portion of it. Conclusion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understands the tread of research on young children dramatic play and provides the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and a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i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영인(Song, Young-In),송윤나(Song, Yun-Na). (2021).유아 극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3), 493-509

MLA

송영인(Song, Young-In),송윤나(Song, Yun-Na). "유아 극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3(2021): 493-5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