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학습 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2844

영문명
The effects of learning Korean through Shortform video on the learning-related facto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지연(Park, Jiyeon) 유훈식(Yoo, HoonSi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7호, 617~63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최근 외국어 교수·학습 도구로서 주목받고 있는 뉴미디어 중 숏폼(shortform)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TikTok)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 한국어학습과 비교 분석하였다. 한편, 틱톡(TikTok)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학습 관련 요인(학습내용, 효능감, 몰입, 불안, 학습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 학습자의 학습 유형 및 성별에 따라 영향력이 달라지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어 관련 교육 프로그램(ex: 대학 부설 어학당, 사설 학원/ 독학 제외) 참여 경험이 있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55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중 틱톡 한국어수업 영상을 시청하게 했으며, 바로 이어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틱톡 한국어수업 영상과 학습 관련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학습 내용, 몰입도, 불안, 효능감, 만족도에 대한 설문 문항을 구성했다. 다섯 가지 종속 변수에 대해 두 집단(기존 한국어 교육-숏폼(shortform)을 통한 한국어 교육)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했다. 다음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두 가지 한국어 학습 유형(드라마 및 영화 활용 선호, 집단 내에서의 활동 선호)이 숏폼(shortform)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식에 따른 다섯 가지 종속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모두 연속형 데이터로 SPSS의 선형 회귀 분석 방식을 통해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다섯 가지 요인 모두에 대해 기존 한국어학습이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학습에 비해 효과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습 내용의 경우 결과값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한국어학습에 비해 틱톡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여성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틱톡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할 때 남성에 비해 여성 학습자들의 몰입도가 크게 높아지며 불안감이 많이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드라마 및 영화를 통한 학습을 선호하는 학습자의 경우 틱톡을 통해 한국어학습을 했을 때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및 몰입도가 높아졌고 불안은 감소했다. 한편, 그룹 학습을 선호하는 학습자의 경우는 틱톡한국어학습을 통해 불안이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결론 본 연구는 숏폼(shortform) 동영상과 관련한 한국어교육 연구가 아직 전무한 가운데 처음 시도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교육·학습이 학습자들의 학습 유형 및 성별에 따라 어떤 영향을 주며 학습 관련 요인들에 따라 그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밝힘으로써 앞으로 틱톡을 통한 한국어학습 콘텐츠를 개발해 나가는 데 참고할 수 있는 좋은 자료를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새로운 학습 환경이니만큼 기존 학습 환경과 비교했을 때 학습자들의 정의적 요인에도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여 함께 살펴본 것 역시 의미있는 시도였다고 생각한다. 학습자 중심 교육에 있어 꼭 필요한 여러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틱톡 한국어수업 콘텐츠 개발에 참고 자료로 잘 사용되리라 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raditional learning and learning through a short-form video such as TikTok, one of the new media drawing attention as a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ool. Studies on students individual factors, learning performance, and other learning-related factors have been on the rise. In respon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learning Korean through TikTok on the learning-related factors(content, self-efficacy, flow, anxiety, and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explores if the effects change depending on the learners learning style and their gender. Methods 55 foreign Korean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watched the TikTok Korean language class video in April 2021, followed by an online survey. Results Comparing th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learning and the learning with a short-form video, understanding the contents was higher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at had different learning methods was remarkable. The results were especially significant for the learning content. Considering more than half(69.1%) of participants of this experiment were advanced learners, it is expected that the advanced learn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ontent of TikTok videos having beginner-level content in general. Therefore, more content that fits the language proficiency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s required. Secondly, Learning Korean through TikTok had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the affective factors of female learners than traditional learning. In other words, Female learners learning flow increased, and the anxiety decreased notably compared to men. Lastly, when the learners who prefer to study through dramas and movies learned Korean through TikTok, their understandings of the contents and their learning flow increased while their anxieties decreased. Also, the learners who prefer to study in groups significantly had lower anxiety when they learned using TikTok.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first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shortform video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epare good materials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s through shortform video in the future by showing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through shortform videos affect learners learning type and gender. In particular, it was also a meaningful attempt to find out whether learners affective factors change in a new learning environment compared to their previous learning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연(Park, Jiyeon),유훈식(Yoo, HoonSik). (2021).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학습 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7), 617-632

MLA

박지연(Park, Jiyeon),유훈식(Yoo, HoonSik).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학습 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7(2021): 617-6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