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문대학 학생대상 생애관점에서의 직업기초역량 측정도구 개발

이용수 134

영문명
Development of a assessment for measuring basic vocational competency for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한현우(Hyun Woo, Ha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7호, 313~32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생애관점에서의 직업기초역량 측정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첫째, HRD/역량 연구자와 기업체 현직자 15명을 대상으로 직업기초역량 구성요소 및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기 위해서 델파이조사를 진행하였고 둘째, 전문대학 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최종 확정된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975로 나타났으며, 요인분석 결과 6개의 구성요소 총 27개의 문항으로 정리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문제해결역량 8문항, 협업역량 5문항, 문화역량 4문항, 공동체역량 4문항, 소통역량 4문항, 가치 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론 측정도구는 실사용자에게 맞춤으로서 활용성과 타당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연구과정에서 전문가집단과 실제 사용자인 학생과의 인식 차를 이해하고 그 원인에 대해 분석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요인분석 결과 기업가정신, 컴퓨팅사고 역량은 문제해결역량에 통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실사용자인 학생집단과 전문가집단의 인식 차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측정도구 개발시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에 대한 이론적 엄밀성과 사용대상자의 활용성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학생들은 문화역량에 관한 높은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Z세대로 분류되는 학생들은 이전세대와는 다르게 디지털환경에서 자라온 세대이며, 온라인을 통해 다른 문화권과의 교류에 거부감이 없는 특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직업기초역량으로서 문화역량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이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을 통해 학생들의 직업기초역량을 높일 수 있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asic vocational competency assessment for future. Methods First,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was defined through reference research. Second, the sub-elements of vocational basic competency and preliminary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through the Delphi. Thir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were verifi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The reliability of final assessment was found to be .975 and consisting of 27 items of 6 components was settled. More specifically, the assessment consisted of 8 questions for problem-solving competency, 5 questions for collaboration competency, 4 questions for cultural competency, 4 questions for community competency, 4 questions for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2 questions for value. Conclusions Assessments are tailored to actual users, not only for the usability but also for the validity. In this respect, there were different perspectives between the expert group and the student group about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entrepreneurship and computing thinking competency were integrated into problem-solving capability. And student group had a high interest in cultural competency. They express their opinions without hesitation to other cultures through the internet. So, I hope that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y as a basic vocational competency can be redefined, also programs and the competency are develop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현우(Hyun Woo, Han). (2021).전문대학 학생대상 생애관점에서의 직업기초역량 측정도구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7), 313-328

MLA

한현우(Hyun Woo, Han). "전문대학 학생대상 생애관점에서의 직업기초역량 측정도구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7(2021): 313-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