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급지별 초등학생들의 문화자본과 창의적 인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이용수 321

영문명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Grades by Lo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윤남희(Yoon, NamHee) 맹희주(Maeng, HeeJ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7호, 411~42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교급지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문화 분야에 대한 선호도와 문화 활동 빈도를 조사하여 문화자본 현황을 알아보았으며 문화 활동과 창의적 인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문화적 소외지역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적 지원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방법 연구를 위해 경기도의 학교급지별 6개의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5, 6학년의 총 24개의 학급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0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65명의 초등학생들의 응답에 대해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문화시설이 부족한 을지지역의 초등학생들은 문화분야에 대한 선호도는 높으나 다른 학교급지의 초등학생들에 비해 박물관 관람, 문화유적지 탐방, 독서 및 연극과 영화 관람 활동의 기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불평등 조건에 놓여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문화 활동은 창의적 인성과 약한 상관이 있으며, 문화 활동의 기회가 적은 을지지역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문화적 소외지역 학생들을 위해 교육 교류를 통한 문화인프라의 공유가 필요하며, 창의적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 문화예술의 참여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무엇보다 교육 기회의 불평등을 해소시키기 위해 경제적 지원과 지역사회의 공동의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cultural capital by examining the preferences for cultural fields and the frequency of cultural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grades by loc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ctivities and creative personality was analyzed and educational support ways were suggested to cultivat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students from culturally alienated areas. Methods For this study, a survey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8 targeting a total of 24 classes of 5th and 6th graders by selecting six 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school grades by location in Gyeonggi-do. The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sponses of a total of 565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ult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ulji area’, which lacked cultural facilities, have a high preference for the cultural field, but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other school grades by location. the opportunities to visit museums, visit cultural sites, read, and watch movi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unequal. Second, cultural activities have a weak correlation with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ulji area’, which has few opportunities for cultural activities, was found to be the lowest. Conclusions 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are cultural infrastructure through educational exchange forand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continuously provid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culture and arts to cultivate creative personality, and above all, to reduce inequality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economic support and the common interest of the local community are needed to solve the probl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남희(Yoon, NamHee),맹희주(Maeng, HeeJu). (2021).학교급지별 초등학생들의 문화자본과 창의적 인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7), 411-427

MLA

윤남희(Yoon, NamHee),맹희주(Maeng, HeeJu). "학교급지별 초등학생들의 문화자본과 창의적 인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7(2021): 411-4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