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언어적·비언어적 관점에서 남녀 초등 예비교사의 교실영어 분석

이용수 188

영문명
An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Pre-service Primary Teachers’ Classroom English from Verbal and Non-verbal Perspectiv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연(Ji Yeo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7호, 765~78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15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들이 수업시연에서 사용한 교실영어가 언어적·비언어적 측면에서 성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남 초등 예비교사 8명과 여 초등 예비교사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그들의 교수·학습과정안, 수업시연 동영상, 동영상 전사 자료, 성찰 일지에 대한 내용 분석 방법을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교실영어의 차이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통사적으로 남 예비교사들은 평서문과 감탄문을 더 많이 사용했지만, 여 예비교사들은 명령문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의문문 전체로 볼 때 남녀 예비교사들은 거의 같은 사용 비율을 보였으며, 유형별로는 남녀 예비 교사들이 Yes/No 의문문이나 선택의문문보다 Wh 의문문을, 절차형 질문과 실제형 질문보다 전시형 질문을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음성·음운적으로는 여 예비교사들이 남 예비교사들과 비교하여 분절음의 발음을 명확히 하고, 초점어를 길고 강하게 발성했으며, 더 정확한 억양형을 취했다. 그러나 발화 속도와 휴지 두기 면에서는 남녀 간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어휘상으로는 남녀 예비교사들은 주로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본 어휘를 사용하였다. 비언어적 행위에 관해서는 여 예비교사들이 남 예비교사들과 비교하여 제스처를 더 자연스럽게 사용하였고, 더 밝은 표정을 지었으며, 학생들과도 고른 시선 접촉을 유지했으나, 목소리에서는 남녀 예비교사들 모두 크지도 작지도 않고, 높지도 낮지도 않은 적절성을 보였다. 결론 이처럼 초등 예비교사들이 사용한 교실영어에는 남녀별로 언어적·비언어적 관점에서 분명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특히 여 예비교사들이 자음과 모음, 강세와 억양을 더 적절히 발음했으며, 비언어적인 요소들을 더 자연스럽게 사용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in pre-service primary teachers’ classroom English in their teaching demonstrations from verbal and non-verbal aspects. To this end, 8 male and 8 female pre-service prim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Methods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their lesson plans, demonstration videos, transcripts of demonstration videos, and reflective journals, the results of differences in classroom English by gender are as follows. Results Syntactically, male pre-service teachers used more declaratives and exclamatory sentences, while females used more imperatives. Both males and females showed almost the same rate in the general use of teacher questions, but they used more Wh questions than Yes/No questions, and alternative questions, and more display questions than procedural and genuine questions. Phonologically, females showed clearer articulation of sounds, longer and more prominent production of focus words, more correct use of intonation patterns than males, but little difference was found in the use of slower speech and longer pauses. Lexically, males and females mainly used basic vocabulary presented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ncerning non-verbal behaviors, females used more gestures more naturally, showed a brighter look, and maintained good eye contact with students. However, the voice tone of males and females was adequate, which was neither loud nor small, or neither high nor low. Conclusions Clear gender differences in classroom English used by pre-service primary teachers were found both in verbal and non-verbal areas. In particular, female pre-service teachers produced segmental sounds, stress, and intonation more appropriately, and also they used non-verbal elements more natural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연(Ji Yeon Kim). (2021).언어적·비언어적 관점에서 남녀 초등 예비교사의 교실영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7), 765-785

MLA

김지연(Ji Yeon Kim). "언어적·비언어적 관점에서 남녀 초등 예비교사의 교실영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7(2021): 765-7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