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IPA 분석

이용수 326

영문명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Teachers for Process-Based Evalu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석우(Kim, Suk-Woo) 장카이(Zhang, Kai) 서원석(Suh, Won-Su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7호, 429~44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15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가 과정중심평가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와 이를 실행하는 정도인 수행도 간 차이를 평가 이해, 평가 계획, 평가 실행, 협력적 의사소통, 평가 결과활용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중학교 현장에서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항목과 장기적 개선이 요구되는 항목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교육청 소속 중학교 교사 4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검정,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교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이해, 과정중심평가 계획, 과정중심평가 실행, 협력적 의사소통, 평가결과활용 모든 영역에서 수행도보다 중요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과정중심평가에서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부분은 학생의 ‘다면적 특성을 평가’, ‘결과를 도출해가는 과정 평가’,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피드백 제공’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기적으로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은 ‘학생의 성찰을 위한 평가’, ‘지필·수행 평가 모두 활용’, ‘핵심역량을 근거한 평가계획 수립’, ‘과정이 중심이 되는 수업 구성’, ‘인지적 정의적 영역 피드백을 학생에게 제공’, ‘성취기준 미흡 학생 추후 지도’로 도출되었다. 결론 과정중심평가의 활성화는 현장에서 직접적인 교육을 통하여 학생과 상호작용하는 교사로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자유학기제로 인하여 과정중심평가를 수행해야하는 중학교 교사에게 더욱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과정중심평가의 중요성을 중학교 교사는 인지함에도 불구하고 수행이 낮은 부분에 대하여 교육부, 교육청, 단위학교 차원에서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학교 교사의 과정중심평가의 업무 중 우선순위 직무를 파악하여 중학교 평가 운영방안에 대한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performance perceived by middle school teachers for the process-based assessme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471 middle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the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Methods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spondence sample t-test, and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middle school teac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formance in all areas of understanding process-based assessment, process-based assessment plan, process-based assessment execution,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assessment result utilization. Second, in the process-based assessment, the priority areas to be supported were the ‘evaluation of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evaluation of the process for deriving the result’, and ‘providing feedback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student’. Third, the areas that need improvement in the long term are ‘evaluation for student reflection’, ‘use of both paper-based and performance evaluation’,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plan based on core competencies’, ‘class composition centered on the process’, and ‘cognition’. It was derived as ‘providing feedback to students in positive and affective areas’ and ‘follow-up guidance for students with insufficient achievement standards’.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meaningful basic data for the middle school evaluation management plan by identifying the priority tasks among the tasks of middle school teachers process-based assess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석우(Kim, Suk-Woo),장카이(Zhang, Kai),서원석(Suh, Won-Suk). (2021).중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IPA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7), 429-441

MLA

김석우(Kim, Suk-Woo),장카이(Zhang, Kai),서원석(Suh, Won-Suk). "중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IPA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7(2021): 429-4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