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의 국어 문법 능력 실태 조사 결과 분석

이용수 380

영문명
An Analysis of a Korean Adult’s Grammar Ability Survey - Based on the 2018 National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NAKLA) -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지영(Kang, Ji-young) 차경미(Cha, Kyung-mi) 구본관(Koo, Bon-Kwa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3호, 619~64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7.0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타당한 조사 도구를 바탕으로 국민의 문법 능력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휘, 문장, 담화, 규범’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 도구를 마련하였으며, 연령대, 지역 규모, 직업군, 학력군을 기본 인구통계학적 변인으로 대표성 있는 5,50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조사 수행 시 배경 변인(최종 전공, 독서량, 인터넷 이용량)을 추가하여 보다 심층적인 변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조사 결과 국민의 문법 능력은 평균적으로 ‘3수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평균 점수는 105.49(150점 만점)으로 조사 대상 성인의 65.7%가 보통 이상의 문법 능력을 갖춘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변인별 분석 결과 고령층, 육체노동자 집단, 고졸 미만 집단, 독서량이 적은 집단, 인터넷 이용량이 적은 집단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특별히 요청되었다. 2013년과 2018년의 국민의 국어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동백분위 동등화(equipercentile equating) 방식을 적용한 결과, 2018년 조사의 문법 능력 평균 점수는 105.49로 2013년 조사에 비해 평균 점수가 약 2점 정도 상승하였으나, 표본오차를 고려하였을 때는 유의미한 상승으로 보기 어려웠다. 또한 고졸 미만 집단에서 오히려 2수준 이하가 증가하고 3수준 이상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전체적인 평균 상승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증감을 보인 것은 문법 능력이 학력 측면에서 양극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고졸 미만 집단에 대한 교육 정책의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다음의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첫째, 요인 분석이나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등을 통해 문법 능력을 구성하는 요인들의 관계를 밝히고, 각 요인들의 영향력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문법 능력의 하위 평가 요소별 심층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grammar ability of Korean adults based on a valid assessment tool and to derive education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i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tools were divided into vocabulary, sentences, discourses, norms , and 5,500 representative samples were surveyed using the age group, regional scale, occupational group, and educational group as basic demographic variables. As a result of this survey, the average grammar ability of Korean adults was analyzed to be equivalent to level 3 , and the average score was 105.49 (out of 150). It was found that 65.7% of the surveyed adults had more than average grammar abil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variables, policy considerations were specifically required for the elderly, the manual labor group, the group with less than high school graduation, the group with little reading, and the low internet usage group. Equipercentile equating was applied to compare Korean language ability in 2013 and 2018. As a result, the average score for the grammar ability of the 2018 survey was 105.49, which was about 2 points higher than the 2013 survey, but it was difficult to see it as a significant increase considering the sample erro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조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지영(Kang, Ji-young),차경미(Cha, Kyung-mi),구본관(Koo, Bon-Kwan). (2020).성인의 국어 문법 능력 실태 조사 결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3), 619-646

MLA

강지영(Kang, Ji-young),차경미(Cha, Kyung-mi),구본관(Koo, Bon-Kwan). "성인의 국어 문법 능력 실태 조사 결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3(2020): 619-6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