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교육목표 분류체계 프로토타입 개발

이용수 304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a Taxonomy Prototype of educational objectives for Group Creativity based on Design Think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선연(Kim Sun Y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3호, 277~30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7.0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의 각 단계별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그것들의 위계를 분석하여 집단 창의성 교육목표 분류체계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과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참고하였고, 실제 집단 창의성 수업 담당교수 면담을 통해 중요한 특징과 내용을 추출하여 기본구조를 개발하였다. 둘째, 교육학 전공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여 집단 창의성 교육목표 분류체계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이해 단계에서 [교환하기]-[공유하기]로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위계를 분류하였다. 둘째, 공감 단계에서 [탐색하기]-[조사하기]-[분석하기]로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위계를 분류하였다. 셋째, 통찰 단계에서 [발견하기]-[(리)프레이밍하기]-[정의하기]로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위계를 분류하였다. 넷째, 발상 단계에서 [가설세우기]-[생성하기]로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위계를 분류하였다. 다섯째, 선정 단계에서 [순위정하기]-[선택하기]로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위계를 분류하였다. 여섯째, 생각시각화&프로토타입 단계에서 [해석하기]-[통합하기]-[표현하기]로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위계를 분류하였다. 일곱째, 검토&파일럿테스트 단계에서 [확인하기]-[점검하기]-[평가하기]-[순환하기]로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위계를 분류하였다. 집단 창의성 교육목표 분류체계 프로토타입 개발의 대표적 시사점은 첫째, 학교교육에서 집단 창의성 교육에 필요한 내용선정과 향상의 기준을 제공하는 것, 둘째 학교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집단 창의성 평가도구 또는 집단 창의성 후속 연구의 측정도구로 활용된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ub-objectives of each stage of the thinking process model of group creativity and, by analyzing its hierarchies, develop a prototype of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r group creativity. For this, to begin with, the study referred to the thinking process model of group creativity and the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developed a basic framework through extracting important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by conducting an interview with a professor teaching group creativity. Then, it conducted a delphi method with 5 experts in the discipline of education and completed the prototy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developed exchange and sharing as sub-objectives and classified hierarchies in the group understanding stage. Second, it developed exploration, survey and analysis as sub-objectives and classified hierarchies in the empathy stage. Third, it developed discovery, (re)framing and definition as sub-objectives and classified hierarchies in the insight stage. Fourth, it developed hypothesis and creation as sub-objectives and classified hierarchies in the ideation stage. Fifth, it developed priority and choice as sub-objectives and classified hierarchies in the selection선정 stage. Sixth, it developed interpretation, integration, and expression as sub-objectives and classified hierarchies in the thinking visualization and prototype stage. Seventh, it developed realization checking, examination, evaluation, and looping as sub-objectives and classified hierarchies in the review and pilot test stage. The study has main implications, including providing the standard of contents selection and improvement for group creativity education in schooling; utilizing as an assessment tool of group creativity for students in schooling environments or as an assessment tool of group creativity for following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집단 창의성 교육목표 분류체계 프로토타입 개발
Ⅴ.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연(Kim Sun Yun). (2020).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교육목표 분류체계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3), 277-304

MLA

김선연(Kim Sun Yun).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교육목표 분류체계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3(2020): 277-3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