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와 부모의 우리성 인식 구조의 특징 연구

이용수 121

영문명
The Structur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f We-nes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계숙(Chung Kai-sook) 박희경(Park Hee-kyung) 손환희(Son Hwan-h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8호, 1235~126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부모가 우리로 한정된 집단에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특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우리성 인식의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고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에 기존에 개발된 최상진, 이장주(1999), 최상진, 김지영, 김기범(2000)의 도구를 검토하여 교사와 부모의 우리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예비 선정하고 2018년 6월 10일부터 6월 15일까지 예비조사를 거쳐 최종 문항을 완성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본 조사는 2018년 7 월 10일부터 7월 25일까지 유아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교사 212명과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25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과 Mplus 7.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일원분산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잠재프로 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우리성 인식 구조의 요인은 관계의 윤리, 정서적 안전, 대상성 불인정 그리고 공현존이 도출되었으며, 잠재프로파일 구조에서는 상 집단, 중 집단 그리고 하 집단이 도출되었다. 둘째, 유아 부모의 우리성 인식 구조의 요인은 상호이해와 수용, 거리감, 심리적 욕구 충족, 공현존, 관계의 예의가 도출되었으며, 잠재프로파일 구조에서는 상 집단, 중 집단 그리고 하 집단이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우리성 인식을 바탕으로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f we-ness. Subjects were 212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58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ir perception of we-ness.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OVA,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ith SPSS 23,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latent profiles analysis with Mplus 7.1.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thics of relationship, emotional safety, objectivity disapproval, and co-presence were derived as the 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we-ness. The latent profi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we-nes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s high, middle and low. Second, mutual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sense of distance,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co-presence, courtesy of relationship were elicited as the factors of parental perception of we-ness and the latent profil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s well. Based on this find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building and realiz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계숙(Chung Kai-sook),박희경(Park Hee-kyung),손환희(Son Hwan-hee). (2019).유아교사와 부모의 우리성 인식 구조의 특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8), 1235-1263

MLA

정계숙(Chung Kai-sook),박희경(Park Hee-kyung),손환희(Son Hwan-hee). "유아교사와 부모의 우리성 인식 구조의 특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2019): 1235-12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