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자중심 사회수업의 의미 이해를 위한 질적 사례 연구

이용수 711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to Understand Learner-centered Social studies education: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Teacher at A middle and high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태환(Kim Tae Hwa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8호, 441~46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사회과에서 교사들이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수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수업에서 학생 참여를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학교를 현장으로 선정하여, 학생 중심의 수업에 많은 경험을 가진 사회과 교사들과의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교사들은 학습자중심교육에서 지식은 실제적 맥락이 반영된 활동과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학생들이 스스로 체득하게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지식을 개별적 의미 구성의 결과로 보는 구성주의적 관점과 동일하다. 둘째, 기존의 강의식 수업에 비해 학생들에게 많은 자율성을 보장해야 하고 상호작용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지만, 학생들에게 자율성과 권한을 주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수업 활동에 일정한 제한을 둘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셋째, 학습자중심의 사회 수업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 활동에 대한 조력자, 촉진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동료 학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교사도 있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수업을 둘러싼 현실적인 제약들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수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거나 통제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최종적으로 학습자중심의 수업에 대한 개별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과 다양한 수업 사례 연구물의 제공 및 공유, 교사의 권한 확대와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esents a qualitative case study to understand the ways that teachers perceived learner-centered lessons in Social Studies that emphasized learner-centered education. To collect data, a school in which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is highly encouraged was selected as the field, an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ocial studies teachers with a lot of experience in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 analysis of interview material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ocial Studies teachers saw knowledge as something that students would acquire themselves through activities reflecting real contexts and interactions in lessons in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ir view of knowledge was the same as the constructivist viewpoint that regarded knowledge as the outcome of individual meaning construction. Secondly, they felt a need to arrange some restrictions to the lesson activities of students for effective learner-centered lessons even though such lessons were supposed to ensure great autonomy for students and induce their free interactions compared with the old lecture-based lessons. Finally, the teachers believed that they should play the roles of a helper and facilitator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students in learner-centered Social Studies lessons. Some teachers were performing their roles as peer learner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would lead their lessons or control their students since they were not free from the realistic limitations around lessons. The study ended by presenting implications for individual teachers efforts to increase their professionalism on learner-centered lessons, provision and sharing of various research results of case lessons, and expansion of teachers author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환(Kim Tae Hwan). (2019).학습자중심 사회수업의 의미 이해를 위한 질적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8), 441-464

MLA

김태환(Kim Tae Hwan). "학습자중심 사회수업의 의미 이해를 위한 질적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2019): 441-4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