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에 대한 어린이들의 인식 비교

이용수 582

영문명
Comparison of Perception of Children on Seoul: Associated with Sense of Place Form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진(Kim Hye J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2호, 957~97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어린이는 삶의 주체로서 자신의 주변을 탐색하게 된다. 어린이는 다양한 장소를 탐색하고 경험하며 어린이들은 세계를 보는 관점을 가지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 세계에 대한 지식을 확장하며 성장해가며, 자신이 속한 장소에 대한 애착을 가지게 된다(Relph.1976; Tuan,1977). 최근 어린이 지리에 대해 관심이 늘어나면서 관련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어린이들의 장소감 연구도 이어지고 있다. 교육에서는 어린이의 장소감과 관련한 현상학적 연구, 장소감의 측정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어린이들의 장소감이 어떻게 형성되어 가는지 또 어떤 요소와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부족했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Relph(1976)와 Sreels(1981)의 모형을 기반으로 내부자로서의 장소 인식과 외부자로서의 경관 인식의 차이와 관련한 장소감 형성 모델을 만들고 이와 관련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사례 연구는 서울에 대한 서울과 경기도의 초등학생의 인식을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의미분석법과 Mind map을 통해 서울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서울시 대표경관과 이를 인지하게 된 경로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어린이의 장소 인식과 장소감을 형성하는 토대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Children explore environments as subjects in their lives. Children acquire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through exploration and experiences on various places in surrounding world. In this way, they expand knowledge on the world, grow up, and form attachment to places where they belong(Tuan, 1977; Relph, 1978). Children geography gains recent attentions and a growing number of studies explore routine places of children and focus on them. In addition, more studies on a sense of place are conducted to identify what they think and how they feel about places. Although there have been phenomenological studies associated with their senses of place and studies on the assessment of sense of place in pedagogy, it can be said that studies on how their senses of place have been formed, factors, and relevance remained inadequate. Thu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place as an insider and the perception of landscape as an outsider, and further examine where this perception has been derived. By doing so, its purpose lies in identifying how children perceive places and what basis forms a sense of place.

목차

Ⅰ. 서론
Ⅱ. 장소 인식과 장소감의 형성
Ⅲ. 연구방법
Ⅳ. 서울에 대한 어린이들의 장소 인식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진(Kim Hye Jin). (2018).서울에 대한 어린이들의 인식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22), 957-977

MLA

김혜진(Kim Hye Jin). "서울에 대한 어린이들의 인식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2(2018): 957-9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