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역사 활동이론을 통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의 활동체계 분석
이용수 570
- 영문명
- Analysis of Work Practices of Instructional Designers for Mobile learning: Using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s A Conceptual Framework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진선미(Jin, Sunmi) 강인애(Kang, Ina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7호, 769~80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15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교수설계자들의 특정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그들의 활동체계를 분석하고, 그들이 직면한 과제나 갈등, 어려움을 모순을 통해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 4인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후 개인과 사회구조의 역동적 관계 분석에 활용되는 문화역사 활동 이론(이후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코딩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의 활동체계 구성요소를 객관적으로 체계화할 수 있었다. 주체인 교수설계자는 테크놀로지를 접목한 모바일 러닝 교수·학습환경 구축을 위해 내·외부참여자들과 규 칙, 분업을 고려하며 목적을 실현시켜나가고 있었다. 이때 체제적 교수설계,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모형, 모바일 콘텐츠, 모바일 콘텐츠 개발툴, 학습관리시스템 (LMS), 테크놀로지의 도구를 활용하였다. 한편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가 당면한 모순과 갈등상황은 업무과중과 부서 간 갈등, 학습관리시스템(LMS)의 불안정한 기술적 지원, 업무 매뉴얼 부재, 학습자 중심 교수설계전략 실천의 어려움, 모바일 러닝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및 실천경험의 부족이였다. 이러한 모순을 해결해가는 과정 속에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들의 활동체계가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vity system of mobile instructional designers in the certain social/cultural context, and confirm the assignment, conflict, and difficulty they face through the contradiction. To this end, qualitative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4 mobile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and the coding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ulture history activity theory(hereafter activity theory) which was used in analyzing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structur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objectively systematize activity system components of the mobile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Instructional designers, the entities, were realizing the goal considering the rule and the division of labor with internal/external participants in order to build the mobile learning instructional/learning environment into which the technology was engrafted. At this time, the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learner-oriented instructional/learning model, mobile contents, mobile contents development tool,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and tool of technology were used. On the one hand, the contradiction and conflict the mobile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were faced with included the heavy workload, inter-department conflict, unstable technical support of LMS, absence of work manual, absence of the learner-oriente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awareness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mobile learning, and absence of the practical experi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ivity system by mobile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was developing in a future-oriented direction while this contradiction was being resolv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교수효율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박물관 견학 토론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등 영어 교사들의 이해와 실행 경험에 대한 연구
- 무용전공 여중생과 일반 여중생의 척추측만증 관련변인의 상대적 위험률
- 노년기영양교육의 방향제시를 위한 동해시노인의 영양 및 생활실태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보육교사 강점이 직무수행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교육 활동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교권침해 실태와 요인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 여대생의 절주 행위 예측 모형 검정
-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학습 과정 탐색
- K-Beauty 전문인의 직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다움’의 의미 탐색
- 융합교육을 통한 학생 성취 평가의 장애 요인 및 지원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색
- 스마트 수학 프로그램을 적용한 STEAM 교육이 수학적 신념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성 함양 교구 개발 사례
- ‘자원순환’ 교육에 대한 2015 초등 개정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초등학생들의 영어어휘수준에 따른 어휘학습전략 양상의 차이
-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의 루틴(Routine)을 활용한 능력 발휘에 관한 연구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미디어 관련 내용 분석
- 학교장의 리더십 행동 양상과 변화지향적 학교 풍토 간 구조적 관계 분석: ‘수업 지원 노력’과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영아 놀이의 연구동향 탐색
- 청소년활동 빈도, 주도적 참여도, 활동만족도 프로파일에 따른 적응유연성과 시민의식의 차이
- 초등교사의 반성적 수업성찰을 위한 수업연구(Lesson Study)의 이해
- 고등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양가성, 정서강도의 군집에 따른 인지적 유연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
- 문화역사 활동이론을 통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의 활동체계 분석
-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의 관계
- 대학 신입생의 자기대화(self-talk)에 대한 질적 연구
-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Early Citizenship Education: Pedagogical Possibilities for Global Citizenship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우울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환아(患兒)보육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인식과 요구도 조사
- 사회과 예비교사를 위한 학습자중심 수업전문성 프로그램 개발
-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몰입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그릿 및 전공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사고능력 증진을 위한 동시 활동 모색
- 어머니와 교사의 교육관과 유아 행복감 간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 TV 드라마 대본을 통한 한국어 관용표현의 사용 맥락 고찰
- 누리과정 연계 동화와 동요를 활용한 유아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양상 및 효과 분석
- 입학전형 유형별 전공 선택 및 학교생활 실태조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leF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학습 플랫폼의 적응적 기능 분석
- 고등학생의 디지털 역량 유형에 따른 학습 및 심리 특성 차이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