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Beauty 전문인의 직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용수 1100
- 영문명
-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for improving Job Literacy of K-Beauty work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영(Kim, Min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7호, 493~51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15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K-Beauty 업계 종사자의 직업 문식성 신장을 위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 이·미용 기술을 배우고 있으나 한국어를 정식으로 배운 수강생은 드물고 주로 미용 현장에서 필요한 어휘 및 표현들을
습득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역설하며 먼저 Ⅱ장에서는 직업 문식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적 접근이 필요함을 보였다. 이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 밝히는 이·미용인의 직업 수행 능력을 살폈으며, Ⅲ장에서는 진급을 위해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분석하고, 심층 면접을 통해 학습자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어 7개의 교육과정 개발 원리를 추출하고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여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Ⅲ.4장에서는 <이·미용 어휘 및 표현>, <이·미용 비즈니스 한국어>, <대화의 기술> 등 세 강좌를 선정하였다. 각각의 성취 기준을 설정하고 학습 과제를 예
시로 보이고 수업 운영 및 평가를 통해 본 교육과정이 실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틀을 마련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enhancing job literacy of K-Beauty workers. Many foreigners are learning Korean beauty techniques in Korea, however, few students have studied the Korean language in the education institutions. Most of them acquire the necessary vocabulary and expressions in the field.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develops as follows. In chapterⅡ, we look at the concept of Job Literacy and show the need for an Korean educational approach. Next, we examine the job performance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In Chapter Ⅲ, we analyze the job skills required for promotion and the factors of learners by in-depth interviews. And then we select the contents of education through the 7 principles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III.4, three lectures are selected: , , and . Each ‘the achievement standard is set up and the learning tasks are shown as an example.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for the use of this curriculum for practical purposes with classroom
operation and evaluation.
목차
Ⅰ. 서 론
Ⅱ. 기초 논의
Ⅲ. 이 · 미용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교수효율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박물관 견학 토론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등 영어 교사들의 이해와 실행 경험에 대한 연구
- 무용전공 여중생과 일반 여중생의 척추측만증 관련변인의 상대적 위험률
- 노년기영양교육의 방향제시를 위한 동해시노인의 영양 및 생활실태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보육교사 강점이 직무수행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교육 활동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교권침해 실태와 요인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 여대생의 절주 행위 예측 모형 검정
-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학습 과정 탐색
- K-Beauty 전문인의 직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다움’의 의미 탐색
- 융합교육을 통한 학생 성취 평가의 장애 요인 및 지원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색
- 스마트 수학 프로그램을 적용한 STEAM 교육이 수학적 신념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성 함양 교구 개발 사례
- ‘자원순환’ 교육에 대한 2015 초등 개정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초등학생들의 영어어휘수준에 따른 어휘학습전략 양상의 차이
-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의 루틴(Routine)을 활용한 능력 발휘에 관한 연구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미디어 관련 내용 분석
- 학교장의 리더십 행동 양상과 변화지향적 학교 풍토 간 구조적 관계 분석: ‘수업 지원 노력’과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영아 놀이의 연구동향 탐색
- 청소년활동 빈도, 주도적 참여도, 활동만족도 프로파일에 따른 적응유연성과 시민의식의 차이
- 초등교사의 반성적 수업성찰을 위한 수업연구(Lesson Study)의 이해
- 고등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양가성, 정서강도의 군집에 따른 인지적 유연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
- 문화역사 활동이론을 통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의 활동체계 분석
-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의 관계
- 대학 신입생의 자기대화(self-talk)에 대한 질적 연구
-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Early Citizenship Education: Pedagogical Possibilities for Global Citizenship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우울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환아(患兒)보육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인식과 요구도 조사
- 사회과 예비교사를 위한 학습자중심 수업전문성 프로그램 개발
-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몰입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그릿 및 전공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사고능력 증진을 위한 동시 활동 모색
- 어머니와 교사의 교육관과 유아 행복감 간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 TV 드라마 대본을 통한 한국어 관용표현의 사용 맥락 고찰
- 누리과정 연계 동화와 동요를 활용한 유아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양상 및 효과 분석
- 입학전형 유형별 전공 선택 및 학교생활 실태조사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